몽골 도로에 한국형 주소 도로명판 설치된다…해외 첫 사례

행안부 장관 22∼24일 울란바토르 방문해 K-주소 체계 전파

 몽골의 수도인 울란바토르에 한국형 주소 체계(K-주소)로 된 도로명판이 설치된다.

 행정안전부는 이상민 장관이 몽골에 한국형 주소 체계를 전파하고 디지털정부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24일까지 울란바토르를 방문한다고 22일 밝혔다.

 양국은 올해 5월 한국이 몽골의 주소 체계 현대화 사업을 지원하고, 협력 관계를 강화한다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서울에서 체결한 바 있다.

 행안부는 'K-주소 기반 몽골 주소 체계 현대화 로드맵'을 마련하고, 몽골의 주소 체계 현대화 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다음으로 이 장관은 울란바토르 '서울의 거리(서울로)'에서 열리는 '서울로(SEOUL street)' 한국형  도로명판 설치 제막식에 참석해 K-주소 해외 진출을 대내외에 공표한다.

 이번에 설치된 '서울로' 도로명판은 해외에서 한국형 주소체계가 반영된 도로명판을 설치한 첫 사례로, K-주소 세계화를 위한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으로 행안부는 기대하고 있다.

 행안부에 따르면 한국의 도로명 주소 체계는 다른 국가처럼 건물에 사용하는 주소 뿐만 아니라 사물주소(시설물)와 공간주소(공터)를 도입해 더 촘촘한 것이 특징이다. 지난해 국제표준화기구(ISO)의 국제표준우수사례에도 반영됐다.

 이 장관은 "울란바토르시에 설치된 한국형 도로명판은 국제표준에서 인정한 K-주소를 몽골의 주소 체계 현대화에 적용하는 출발점"이라며 "몽골의 주소 체계 현대화에 협력하고, 주소 관련 신사업에 우리 기업들이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 장관은 몽골 내각관방부 장관을 만나 몽골 디지털 신분증(ID) 구축을 위한 사전 타당성 조사 사업 등 디지털정부 관련 협력 필요 사항을 논의하고 양해각서를 체결한다.

 이번 양해각서에는 디지털정부 관련 기업 협력 등의 내용이 포함돼 우리 정보기술(IT) 기업들의 몽골 진출 확대 계기가 될 것으로 행안부는 전망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유통 안전 훼손"
대한약사회는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약효군을 확대하도록 한 국무조정실 신산업규제혁신위원회 측 권고에 대해 "의약품 유통과 사용 관리를 위한 안전장치를 훼손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대한약사회는 지난 28일 성명을 내고 "화상 투약기는 이용률과 판매 실적이 매우 낮아 국민 편익에 부합하지 못한다"며 "사업성과 사회적 편익 증가가 부족한 사업"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 같은 상황에서 약국 외 격오지에도 (화상 투약기를) 설치하라는 권고는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이해가 떨어지는 것"이라며 "'대면 원칙'과 '약국'이라는 의약품 유통 및 사용 관리를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가 훼손된다"고 했다. 아울러 경구용 피임제, 수면유도제 등 품목이 화상 투약기를 통해 판매되는 데 대해 "이는 해외에서 매우 까다롭게 관리하는 품목"이라며 "약학 전문가의 우려를 반영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국무조정실 신산업규제혁신위원회는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약효군을 확대하라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규제특례위원회에 권고했다. 확대 권고 대상은 현행 11개에서 사전피임제, 수면유도제, 건위소화제, 외피용 살균소독제, 청심원제 등 13개 약효군을 추가한 24개다. 소비자는 약국 앞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