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산후조리원 최고가 1천700만원…서울·경기에 56% 편중

지역별 가격차 10배 넘어…박희승 의원 "'원정 산후조리' 없도록 정부 지원 강화"

 전국 산후조리원의 절반이 서울과 경기 지역에 몰려 있어 지역별 접근성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산후조리원 가격은 가장 낮은 곳(130만원)과 높은 곳(1천700만원)이 10배 이상 차이가 나는 등 천차만별이었다.

 박희승 국회의원이 최근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17개 시도에 운영 중인 산후조리원은 민간 436곳, 공공 20곳으로 모두 456곳이었다.

 이 중 145곳(31.8%)이 경기도 소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112곳(24.6%)으로, 서울과 경기 지역에만 전체 산후조리원의 56.4%가 몰려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산후조리원이 가장 적은 지역은 세종으로 6곳(1.3%)이었으며, 광주·울산·제주가 각각 7곳(1.5%)이었다.

 몇몇 지역에서는 지역 내에서도 조리원 쏠림 현상이 나타나 기초지자체 단위로 보면 산후조리원이 아예 없는 곳도 많았다.

 충북은 11개 시군 중 9개 시군에 산후조리원이 없었다. 전북은 14개 시군 중 11개에, 전남과 경북에서는 각 22개 시군 중 14개에 산후조리원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민간 산후조리원 가격은 '천차만별'이었다.

 전국에서 가장 비싼 민간 산후조리원은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곳으로 일반실 2주 이용 기준 가격이 1천700만원에 달했다.

 가장 저렴한 곳은 충북에 있었으며 가격은 같은 기간 130만원으로 최고가 조리원과 10배 넘게 차이가 났다.

 지난해 지역별 평균 가격은 서울이 433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광주가 370만원, 세종 347만원, 경기 332만원이었다.

 평균 가격이 가장 낮은 곳은 전북으로 201만원이었고 경북 221만원, 충북 222만원이었다.

 의원실이 2019년 대비 지난해의 지역별 민간 산후조리원 가격 상승률을 분석한 결과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광주 지역이었다.

 광주의 평균 조리원 가격은 2019년에는 225만원이었지만 지난해에는 370만원으로 4년 새 64.4%가 올랐다.

 이어 부산 지역 상승률이 46.3%(190→278만원)였고, 경남은 38.1%(197→272만원)였다.

 박희승 의원은 "저출생 시대 산모와 신생아에 대한 적절한 산후 돌봄이 절실하지만, 지방의 경우 접근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원정 산후조리'를 하는 일이 없도록 남원을 비롯한 인구감소지역 등 취약지에 정부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립선암 방사선 치료 환자, 내달부터 치료비 부담 던다
오는 9월 1일부터 전립선암 방사선 치료의 정확도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이는 데 필수적인 '방사선치료 체내고정용 재료'에 건강보험 필수급여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그간 비용의 50%를 짊어져야 했던 환자들의 경제적 부담이 크게 완화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의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일부개정안을 최근 행정 예고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개정은 해당 치료재료가 임상적 유용성과 필요성을 인정받아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통과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방사선치료 체내 고정용 재료'는 체외 방사선 조사 시 치료 부위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장 내에 삽입하는 일회용 재료다. 전립선은 남성의 방광 바로 아래, 직장 앞에 위치한 작은 기관이다. 해부학적으로 직장과 매우 인접해 있어, 방사선 치료 시 미세한 움직임에도 방사선이 직장에 영향을 미쳐 직장 출혈, 통증 등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재료는 전립선과 직장 사이에 물리적 공간을 확보해 방사선이 전립선암 조직에만 정확히 조사되도록 돕는 '방어벽' 역할을 수행한다. 지금까지 해당 재료는 환자가 비용의 50%를 부담하는 '선별급여' 항목이었다.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높이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