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전염병 확산 속 방역·검역 인력은 '수년째 태부족'

작년 가축방역관 결원율 7%·동물검역관은 17% 못 채워

 국내에서 가축전염병이 잇따르고 있지만 방역·검역 인력은 수년째 정원을 채우지 못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임미애 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작년 가축방역관은 1천130명으로 정원 1천214명을 채우지 못했다. 결원율은 6.9%를 차지한다.

 가축방역관은 시료 채취, 역학조사, 소독 점검, 살처분 등 가축 방역 업무 전반을 담당하는 수의사다.

 작년 가축방역관 1천130명 중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무원이 821명이고 공중방역수의사가 309명이었다.

 특히 지자체 소속 공무원 가축방역관은 2022년 901명에서 작년 821명으로 1년 만에 80명이 줄었다.

 공항, 항만 등에서 동물과 축산물 등에 대한 수출입 검역 업무를 맡는 수의사인 동물검역관 부족 문제는 더 심각하다. 작년 기준 인력은 199명으로 정원 241명보다 17.4% 부족한 상태로 드러났다.

 결원율은 2021년 14.0%, 2022년 15.2%, 작년 17.4%로 매년 높아졌다.

 방역·검역 인력 부족은 업무가 많은 데다 민간과 보수 차이가 커, 지원율이 낮기 때문이다.

 각 지자체와 검역본부 방역·검역 인력 부족은 만성화됐으나 최근 가축전염병이 잇따르고 있어 이들 인력 확보의 중요성은 더 커지고 있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등은 계절을 가리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 작년에 국내 농가에서 구제역 사례도 4년여 만에 나왔다.

 또 작년 국내에서 처음 발생한 럼피스킨과 같은 신종 가축전염병의 유입 위험도 상존한다.

 이런 상황에서 지금과 같이 방역·검역 인력이 감소하면 한 사람이 부담해야 하는 업무량은 더 많아지고, 이탈 현상이 가속될 수밖에 없다.

 임 의원은 "방역·검역 인력의 업무 부담이 가중되고 인력 부족이 장기화하면서 일각에선 방역 시스템에 공백이 생기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며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처우 개선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