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 10일부터 목요일 성인 응급실 주간진료 재개

 의료진의 잇단 사직으로 주 1회 성인 응급실을 축소 운영해온 아주대병원이 해당 날짜의 주간 진료를 재개하기로 했다.

 8일 아주대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은 오는 10일부터 매주 목요일 주간(오전 7시∼오후 3시) 성인 응급실 진료를 재개한다.

 이 병원 응급실은 지난달 5일부터 매주 목요일 주간과 야간에 해당하는 24시간(당일 오전 7시∼이튿날 오전 7시) 동안 16세 이상 성인 환자의 경우 심폐소생술(CPR)을 필요로 하는 등의 초중증 환자만 받았다.

 병원 측이 한 달여 만에 목요일 성인 응급실의 주간 진료를 재개하기로 결정하면서 오는 10일부터 제한 진료는 같은 요일 야간(오후 3시∼이튿날 오전 7시까지)에만 이뤄진다.

 소아응급실의 경우 수요일과 토요일엔 초중증 환자만 받는 종전의 방식을 유지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아주대병원 관계자는 "성인 응급실 내 의료진 인력과 관련한 변화가 있는 건 아니다"라며 "의료진이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 진료 시간을 더 늘려 제한 진료 시간대를 24시간에서 16시간으로 줄이기로 했다"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전남대, 삼중 항암 면역치료법 개발
광열치료·항암백신·면역관문억제제를 혼합해 암의 재발과 전이를 억제하는 복합면역치료법이 전남대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전남대는 3일 이준행(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이시은(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약리학교실)·박인규(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교수 연구팀이 새로운 암면역치료법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암세포에 빛을 쬐어 없애는 광열치료, 높은 온도에서도 효능을 잃지 않는 플라젤린 면역증강제 첨가 면역 백신, 면역관문억제제 등을 병합해 암의 재발과 전이를 억제하는 복합암면역치료법을 개발했다. 기존 면역치료법인 면역관문억제제와 암 백신은 각각 종양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으나, 종양이 만들어내는 복잡하고 억제적인 미세환경(TME)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했다. 또 광열치료는 빛을 이용해 암세포를 제거하고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장점이 있지만, 치료에 사용되는 높은 열이 오히려 면역을 조절하는 주요 인자의 기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타깃 할 수 있는 '종양 특이적 나노입자'를 활용해 광열치료 효과를 최적화했고, 면역 백신과 면역관문억제제 등 3가지를 함께 적용하는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