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증시일정](10일)

[오늘의 증시일정](10일)
    ◇ 추가 및 변경상장
    ▲ (주)아스트[067390](BW행사 140만3천835주 500원)
    ▲ 올릭스 주식회사[226950](주식전환 10만9천672주 1만3천677원)
    ▲ (주)포커스에이치엔에스[331380](유상증자 329만9천512주 1천950원)
    ▲ 아세아제지(주)[002310](주식소각)
    ▲ (주)성안머티리얼스[011300](CB전환 51만1천821주 719원)
    ▲ (주)하이트론씨스템즈[019490](CB전환 120만주 500원)
    ▲ (주)캐리[313760](CB전환 12만9천32주 7천750원)
    ▲ 주식회사 인벤티지랩[389470](CB전환 9만6천379주 9천995원)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8일) 주요공시]
    ▲ 알티캐스트[085810], 100억원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 효성家 조현문 설립 단빛재단, 계열사 주식 844억원 전액 처분
    ▲ 네오펙트[290660], 10억원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 현대차[005380], 인도법인 IPO 본격화…현지 지분 17.5% 공개매각 의결
    ▲ 엔지스테크널러지[208860], 230억원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 다산네트웍스[039560] "엔지스테크널러지 주식 230억원에 추가취득"
    ▲ LG엔솔, 벤츠에 수조원대 수주 성공…차세대 46시리즈 납품할 듯
    ▲ LG에너지솔루션[373220] 3분기 영업이익 4천483억원…작년 대비 38.7%↓
    ▲ LG전자[066570] 3분기 영업이익 7천511억원…작년 동기 대비 20.9%↓
    ▲ 삼성전자[005930] 3분기 영업이익 9조1천억원…작년 동기 대비 274.5%↑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부산대, 차세대 표적 항암제 후보물질 개발…종양 40% 감소
부산대학교 연구진이 암세포 생존에 관여하는 단백질 복합체 구조를 규명하고, 이를 억제하는 물질을 개발해 암 억제 효과를 입증했다. 부산대학교는 분자생물학과 장세복 교수와 생명시스템연구소 김현진 전임연구원이 암세포 생존을 촉진하는 단백질 복합체 결합 구조를 극저온 전자현미경 기법으로 원자 수준에서 해석하고 이 구조를 기반으로 암세포 증식·이동 억제 기능을 갖춘 물질을 설계해 차세대 항암제 후보물질의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는 폐암, 대장암, 췌장암 세포에서 펩타이드 투여 시 암세포의 ATP(아데노신 삼인산) 생성이 현저히 감소하고 세포 이동성이 억제되는 것을 관찰했다. 정상 세포에서는 독성이 나타나지 않아 안전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동물실험에서도 종양 부피와 무게를 40% 이상 감소시켰으며, 독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정상 세포에서도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아 안전성 확보 측면에서 유망한 결과를 보였다. 장세복 교수는 "기존 RAGE 억제제는 낮은 특이성과 독성으로 인해 임상적 한계가 있었다"며 "이번 연구에서 제시한 펩타이드 기반 치료법은 특정 단백질 간 상호작용을 통해 암세포에 관여하는 단백질 복합체의 활동을 선택적으

메디칼산업

더보기
'피로 만든 의약품' 혈액제제…"제조법 지속 개정해야"
혈액제제라는 말은 다소 낯설게 들릴 수 있다. 뜻은 간단하다. 혈액제제는 사람의 혈액을 원료로 만든 의약품이다. 혈액은 고형 성분으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있고 액상 성분으로는 알부민, 면역글로불린, 응고성 단백 성분 등으로 구성된 혈장이 있다. 각각의 성분은 우리 몸 안에서 산소 운반, 신체 방어, 지혈 등 역할을 맡는다. 혈액은 헌혈을 통해 공급돼 다양한 분리 공정 등 제조과정을 거쳐 수혈용 혈액제제, 혈장분획제제 치료제 생산을 위한 분획용 혈장 등으로 사용된다. 혈장분획제제란 혈액 내 특정 단백질을 변질시키지 않고 필요한 성분을 분획·추출해 정제한 의약품이다. 혈액제제의 가장 큰 장점은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작다는 것이다. 인간 혈액에서 유래한 의약품인 만큼 생체적합성이 높고 몸에 들어가면 빠른 효과를 나타낸다. 그 덕분에 응급상황에서 중요하게 쓰인다. 합성의약품으로는 대체가 어려운 면역글로불린 등 단백질을 직접 공급할 수 있다는 강점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표적으로 GC녹십자와 SK플라즈마가 혈액제제를 생산한다. GC녹십자의 '알리글로'는 선천성 면역 결핍증으로도 불리는 일차 면역결핍증에 사용되는 정맥투여용 면역글로불린 10% 제제다.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