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의료원장 "의사 부족 심각…의료대란은 연내 해소 어려워"

주영수 원장 "공공의대 설립 방향성은 좋아…공공의료 도움될 것"
"의대 증원 2천명은 정부가 제안할 수 있는 범위" "지역 연계해 응급의료 대응"

 국립중앙의료원 수장이 전공의들의 사직 후 8개월째 이어지는 의료대란이 올해 안에 끝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주영수 국립중앙의료원장은 1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료대란 해소 시점에 대한 질의에 "정말 예측하기가 어렵다"며 "내년에 조금이라도 회복하기를 기대한다"고 에둘러 답했다.

 올해 안에는 어렵다는 뜻이냐고 재차 질문을 받자 "올해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다들 비슷하게 예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주 원장은 야당과 시민사회단체 등에서 주장하는 공공의대 설립에 대해서는 일단 긍정적인 반응을 내놨다.

 이어 "앞선 논란이 정리된다면 공공의대 설립을 통한 의대 증원은 공공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지역·필수의료를 살리기 위해 의대 증원을 추진하고 있지만 단순 증원만으로는 의사들을 지역에 묶어두기 어려울 것이라는 사실도 짚었다.

 주 원장은 "의무를 부여하려면 그 과정 자체가 대단히 공적이어야 하고, 공공의대와 같은 방식이어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라며 "단순 증원으로는 의무를 부여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주 원장은 공공의료 현장에선 이미 오래전부터 의사가 심각하게 부족한 상황이었다며, 의대 증원 자체에는 찬성하는 입장을 다시금 전했다.

 그는 "지방의료원장, 공공의료원장들과 대화를 해보면 예외 없이 의사 부족 문제가 1번"이라며 "의사 부족은 매우 심각하고, 이미 오래전부터 문제가 되어온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주 원장은 지난 3월 긴급 기자간담회에서 "2천명 증원은 국민의 건강과 안녕을 책임지는 정부로서는 충분히 할 수 있는 정책이라고 본다"고 밝혔는데, 지금도 이러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이날 "2천명 증원은 정책을 입안하는 정부가 제안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얘기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며 "다만 수준과 속도의 문제는 전문가 또는 의사 집단과 충분히 논의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공개적이고 합리적인 수준에서 논의하는 게 좋다고 본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응급실 뺑뺑이' 등 응급의료체계 붕괴 위기에 대해서는 환자를 최종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배후진료' 역량이 무너진 걸 원인으로 꼽으며, 오래전부터 발생해오다 올해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으로 더 악화했다고 봤다.

 

 주 원장은 "응급의료의 본질적 문제는 배후진료의 역량이 무너진 건데, 상당 기간 전부터 지속해서 발생해왔다"면서도 "올해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의료자원이 빠져나가면서 훨씬 더 증폭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의 응급의료 문제를 단일 의료기관이 알아서 해결하기는 곤란한 상황"이라며 "지역 단위로 연계해 대응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된다면 현재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환자단체 "의료대란 피해보상법안 환영…의료계 책임도 물어야"
의대 증원 정책으로 촉발된 의료대란의 피해를 국가가 보상하게 하는 내용의 '의료대란 피해보 상 특별법안'이 발의되자 환자단체들이 잇따라 환영 입장을 밝혔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27일 입장문을 내고 "특별법안 발의에 환영 입장을 표한다"며 "그간 수많은 환자가 시대의 희생양이 돼 무조건 참고 견뎌야만 하는 상황에 놓여 있었다"고 말했다. 환자단체연합회도 전날 성명에서 법안 발의를 환영하며 "국회는 법안을 신속히 통과시켜 그동안 환자와 국민이 입은 피해를 보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인 박주민 의원이 지난 22일 대표 발의한 의료대란 피해보상 특별법안은 지난 2월 정부 의대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 집단사직 등으로 제때 진료를 받지 못한 피해자들에 국가가 보상하도록 하는 법안이다. 보건복지부 소속 의료대란피해보상위원회를 설치해 투명하고 객관적인 기준과 절차에 따라 보상이 이뤄지게 하고, 피해 심의 과정에서 피해자와 유족이 의견을 제출할 기회를 보장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환자단체연합회는 이 법안이 의료대란 피해 입증 책임을 정부가 진다고 명시한 점에 특히 의미를 부여하며 "아무런 잘못이 없는 환자와 유족이 더는 피해와 고통을 겪지 않게 정부와 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AI 역량 갖춘 바이오 인재 절실…기업·대학 협업해 양성해야"
우리나라에서 첨단 바이오 분야 인재를 양성하려면 기업과 교육 기관이 협력해 경력 개발 프로그램, 인턴십 등을 제공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역량까지 요구되는 바이오 분야 특성상 기업 등 단일 행위자의 노력만으로는 인재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24일 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홍성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센터장은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이달 발행한 '지속 가능한 바이오 인력양성 및 확보 전략' 보고서에서 이같이 조언했다. 보고서는 우선 우리나라 바이오 분야 발전 수준이 선진국에 비해 한계를 보인다는 점을 지적했다. 올해 네이처 인덱스의 연구 분야별 순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물리, 화학에서 각각 6위, 7위를 기록했으나 바이오 관련 분야인 생물은 14위에 그쳤다. 네이처 인덱스는 글로벌 출판 그룹 네이처가 주요 자연과학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수와 작성 기여도, 학문 분야별 가중치 등을 산출해 수치로 변환한 지표다. 네이처는 한국의 논문 성과와 연구개발(R&D) 지출을 비교하면 다른 국가와 비교해 '투자 대비 성과'가 부족하다고도 평가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가 바이오와 디지털 2개 분야를 접목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산업에 적용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