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4일 조간)

▲ 경향신문 = "돌 맞고 가겠다"는 윤 대통령, 아집·불통 국정 선언인가

배달앱 탈퇴 원하지만 대안 없다는 자영업자들

'살상무기 우크라 지원' 입장 선회, 한·러관계는 파국 기로

서울 철도 지하화, 환경·사업성 고려해 면밀히 추진해야

▲ 동아일보 = '필수의료 연봉 1, 2위' '20년간 단계적 증원'… 분란 없는 이유

尹 "돌 맞아도 간다"… 방향은 맞는 건지, 길은 있는 건지

채용은 줄고 월급은 꽁꽁, 청년 '富의 사다리' 붕괴 막아야

▲ 서울신문 = 당정 갈라서면, 민심 어디 서야 하는지 그 답 내놓길

법원장 압박, 무죄 토론… 李대표 판결 앞, 다급한 野

대화 물꼬 튼 의정협의체, 전공의 복귀 명분 찾아야

▲ 세계일보 = 전공의·의협·민주당, 여·야·의·정 협의체 참여 거부할 때 아냐

전기료 산업용만 '찔끔' 인상, 언제까지 땜질로 일관할 건가

도 넘은 '李 대표 방탄' 행태, 법원이 법치주의 수호해야

▲ 아시아투데이 = 北파병 알아낸 국정원, '대공수사권' 복원해줘야

韓이 李와 '김 여사 특검' 손잡는다면, 자살행위

▲ 조선일보 = 여야 '특별감찰관 對 北인권 이사' 정치 장난 그만둬야

"상대 무시·제거하면 정치 아닌 싸움" 이 대표의 유체이탈 발언

기업 매출 감소율 코로나 때 능가, 주가 상승률은 세계 최저

▲ 중앙일보 = 특별감찰관 신속히 임명하고 용산 '김건희 라인' 정리해야

'땜질식 처방'만 이어지는 에너지 가격 포퓰리즘

▲ 한겨레 = 저출생 축소사회 대응 모색하는 아시아미래포럼

'김건희' 위해 "돌 맞고 가겠다"는 윤 대통령

국정원 '민간인 사찰' 면죄부, 공안통치 시대로 회귀했나

▲ 한국일보 = 국민만 보겠다는 韓, 이제는 실행력 보여라

의료계 합류 여야의정 협의체, 민주당 참여 미룰 명분 없다

반가운 아기 울음소리… 추세 상승으로 이어가야

▲ 글로벌이코노믹 = 북한군 러시아 파병에 전략적 대응 필요

오리무중 미 대선과 트럼프 트레이드

▲ 대한경제 = 서울 지상철도 지하화, 제2의 건설산업 부흥 기회되나

산업용만 전기료 인상… 주택용과 일반용도 고통 분담해야

▲ 디지털타임스 = 갈수록 태산 尹·韓 갈등… 끝내 공멸의 길 가려는가

또 산업용 전기요금만 인상… 땜빵 대응으론 근본 해결 안돼

▲ 매일경제 = 전력산업 구조개편 없는 전기료 인상은 미봉책

삼바 1.7조 잭팟 … '바이오판 TSMC' 韓서 나오길

서울 지상철도 지하화 시동, 노후도심 활성화 계기돼야

▲ 브릿지경제 = 중저신용자 규제만이 아닌 대책도 찾아야 한다

▲ 서울경제 = 산업용 전기료만 인상, 단계적 가격 현실화 로드맵 제시하라

北, 파병 이어 ICBM 만지작 … 가치연대 강화로 북러 밀착 깨야

의정협의체 부분 가동 … 극한 대립 풀고 의료 정상화 물꼬 터야

▲ 이데일리 = 대화 물꼬 튼 의·정갈등, 정치권도 해법찾기 협조해야

북한군의 우크라 파병, 우리에게도 발등의 불이다

▲ 이투데이 = 산업용 전기요금만 계속 올린다고 될 일인가

▲ 전자신문 = 공공 SW 사업, 사전 협의는 필수다

▲ 파이낸셜뉴스 = 미래 위해 전기요금 단계적 정상화 시작할 때

대한노인회 노인 연령 조정 건의, 정부 검토해야

▲ 한국경제 = 포퓰리즘 탓에 4년간 70% 넘게 뛴 산업용 전기료

어렵게 찾아온 여야의정 대화 기회, 몽니 부리는 野

버스 준공영제 20년 만에 대수술 … 업계 구조조정도 병행해야

▲ 경북신문 = 공공배달플랫폼 '먹깨비' 지원 중단 아쉽다

한산한 보문단지, APEC 개최 준비로 활기 찾나

▲ 경북일보 = 요양병원서 잇따른 살인, 관리 실태 조사해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푹푹 찌는 더위에 혈당 오를라…만성질환자 건강관리 '요주의'
건강한 사람도 혀를 내두를 만한 후텁지근한 날씨가 연일 이어지면서, 평소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을 앓는 만성질환자들의 건강 관리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폭염으로 인한 탈수는 혈당 수치를 높이고 혈전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갈증이 나지 않더라도 적절한 수분 섭취를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의료계에 따르면 무더위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는 혈압을 상승시키고 심장박동수를 증가시키며 혈당 수치도 높인다. 요즘처럼 푹푹 찌는 혹서기에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는 가급적 야외 활동을 삼가며 더욱더 건강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하는 이유다. 심혈관 질환자, 고혈압·당뇨병 등을 앓는 경우 폭염에 장시간 노출 시 온열질환이 발생할 위험은 물론이고 평소 갖고 있던 만성질환이 악화하는 경우가 많다. 이 중 당뇨병 환자는 무더위로 인해 땀으로 배출되는 수분량이 많아지면 체내 혈당 수치가 높아지면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당뇨병을 오래 앓았다면 자율신경계 기능 이상으로 체온 조절 기능이 떨어지면서 온열질환에 더 취약해지기도 한다. 심뇌혈관질환자 역시 땀 배출로 체내 수분이 감소하면 떨어진 혈압을 회복하기 위해 심박동수, 호흡수가 증가해 심장에 부담이 늘어난다. 강희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