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뇌 닮은 뉴로모픽 소자의 미세구조 관측 성공

표준硏 "1천배 미세 영역까지 파악…차세대 반도체 성능 혁신"

 국내 연구진이 인간의 뇌를 본뜬 차세대 반도체 소자의 성능을 높일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차세대 뉴로모픽 소자를 구현할 핵심 소재 형태인 '마그논'의 미세구조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뉴로모픽 소자는 사람의 뇌 시냅스 구조를 모방해 사람 사고 과정과 비슷한 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하도록 고안한 차세대 반도체다.

 인간의 뇌는 1천억개의 뉴런(신경세포)과 이를 연결하는 100조개의 시냅스로 이뤄져 있는데, 시냅스는 뇌 신경망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마그논은 자성 물질에서 양자 스핀(회전)이 도미노처럼 서로 영향을 주며 에너지가 전달되는 소재의 형태를 말한다.

 양자 스핀 하나에 에너지를 가하면 물결치듯 다른 스핀으로 전달하는 고유의 특성을 이용해 여러 신호를 동시에 초저전력으로 보낼 수 있다.

 다만 기존 기술로는 마그논의 전체 구조 중 대역폭이 큰 일부 영역만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VNA(주파수 응답 특성 측정 장비)를 이용, 기존 ㎓(기가헤르츠) 영역을 넘어 ㎒(메가헤르츠) 영역 주파수에서 마그논의 전체 구조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보다 1천배 더 미세한 영역까지 파악할 수 있는 수준이다.

 뉴런 간 연결이 강할수록 뇌의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처럼 마그논의 주파수를 미세하게 조정하면 더 정교하게 뉴로모픽 소자를 설계해 성능을 높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안경모 초빙연구원은 "마그논은 양자 초고속 연결망, 차세대 고정밀 센서를 구현할 소재 형태로도 주목받고 있다"며 "이번 연구로 확보한 마그논 구조를 바탕으로 응용 소자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자가 세포 이용한 조기 난소 부전 치료 임상연구 심의 통과
보건복지부는 지난 19일 제12차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심의위원회를 열고 첨단재생의료 임상 연구과제 9건 중 2건을 '적합' 의결했다. 적합 의결된 과제는 조기 난소 부전 환자에게 기계적 방식으로 분리한 자기 지방 유래 기질혈관분획을 투여하는 저위험 임상 연구다. 조기 난소 부전은 40세 이전에 조기 폐경돼 여성 불임의 원인이 되는 질환이다. 폐경 시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호르몬대체요법 등은 유방암이나 혈전 발생과 같은 부작용이 있고, 근본적인 난소 회복은 어렵다. 해당 연구는 기존 치료법과 달리 조기 난소 부전 환자의 난소에 지방조직에서 분리한 세포혼합물인 기질혈관분획을 투여해 난소 기능을 개선한다. 아울러 기질혈관분획을 분리할 때 다양한 크기의 미세 모공을 순차적으로 사용하는 기계적 방식을 사용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효소 처리 방식보다 지방에 포함된 지방 유래 줄기세포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재발성 난소암 환자를 대상으로 종양에 침투한 림프구를 이용한 치료를 하는 중위험 임상 연구도 적합 의결됐다. 환자의 종양에 침투해 암세포와 싸우는 면역세포인 T림프구는 종양세포만 식별해 공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해당 연구는 종양에 침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종양만 골라 공격하는 광열 면역 치료제 개발"
울산대학교는 의과대학 이창환·진준오 교수와 박사과정 박해빈 씨 연구팀이 종양만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광열 면역 치료제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울산대에 따르면 연구팀은 면역 관문 억제제의 항원 결합 부위를 활용해 치료제를 만들었다. 이 치료제는 원발암 치료뿐만 아니라 암에 대한 면역 반응을 활성화해 재발과 전이까지 막는 효과를 보였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코로나 백신에 사용하던 지질 구조체에 광열 치료용 인도시아닌 그린을 탑재하고, 지질 구조체 표면에는 면역 관문 억제제인 항-PD-L1 항체의 항원 결합 부위를 부착했다. 면역 관문 억제제는 종양에서 발현하는 단백질에 결합해 암 주변 면역을 활성화하는 물질이다. 실험에서 연구팀이 개발한 지질 구조체는 쥐 체내 종양을 선택적으로 치료하고, 면역 활성으로 전이와 재발을 억제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개발한 지질 구조체를 원발암 치료와 전이암 차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지질 구조체는 약물 전달체로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달 17일 나노 분야 국제 학술지 'ACS 나노'(ACS Nano)에 게재가 확정됐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