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서 가장 작은 '260g' 아기, 198일 만에 엄마랑 집으로

삼성서울병원서 지난 4월 '국내 최소 체중' 출생…세계 14번째
이달 5일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저체중 미숙아의 희망될 것"

  260g. 국내에서 가장 작은 아기로 태어난 예랑이가 병원 생활 198일 만에 엄마 품에 안겨 집에 돌아갔다.

  삼성서울병원에 따르면 올해 4월 22일 출생 당시 체중이 260g으로 국내 최소, 세계에서 14번째였던 예랑이가 지난 5일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했다.

 퇴원할 때 잰 몸무게는 3.19㎏으로 태어날 때보다 체중이 10배 넘게 늘었고, 이제는 기계장치의 도움 없이 혼자 숨도 쉰다.

 예랑이는 엄마와 아빠가 결혼한 지 3년 만에 찾아온 귀한 생명이었다.

 예랑이의 존재를 확인한 날이 11월 11일이라 '(빼)빼로'로 불렸다. 건강한 모습으로 만날 줄 알았던 예랑이는 임신 21주 차부터 더 이상 자라지 않았다.

 자궁 내 성장지연에 임신중독증까지 심해지면서 애초 개인병원에 다니던 예랑이 엄마는 대학병원을 거쳐 삼성서울병원으로 전원됐다.

 이 과정에서 예랑이 엄마의 혈압이 점차 치솟고 복수까지 차오르면서 상황이 위태로워지기도 했다.

 결국 예랑이는 엄마가 입원한 지 나흘 만인 4월 22일 제왕절개 수술로 태어났다. 성인 손바닥만 한 한 줌 크기였다.

 예랑이는 출생 직후 신생아중환자실로 옮겨져 24시간 집중 관리를 받았다. 호흡부전, 패혈성 쇼크로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았고 항생제, 승압제, 수혈 등 고강도 치료도 병행했다.

 첫 번째 고비는 생후 한 달이 되지 않았을 때 태변으로 장이 막히면서부터 시작됐다. 수술을 감당하기 어려울 만큼 작았던 터라 교수들이 돌아가면서 조금씩 태변을 꺼내면서 악화하지 않도록 돌봤고, 예랑이는 모두의 감격 속에 결국 첫 변을 봤다.

 예랑이의 치료를 맡았던 양미선 교수는 "신생아중환자실 의료진 모두 예랑이가 첫 변을 본 순간을 잊지 못한다"며 "반드시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할 수 있을 것이란 믿음이 더욱 강해졌다"고 말했다.

 태변을 본 예랑이는 몰라보게 호전돼 얼마 지나지 않아 인공호흡기를 뗐고, 스스로 숨을 쉬었다. 

 미숙아에 흔한 안과질환인 망막증도 합병증 없이 무사히 넘겼다. 신생아중환자실 의료진들은  활달하게 버텨내는 예랑이에게 '일원동 호랑이'라는 별명을 붙여줬다.

 예랑이보다 조금 더 크게 태어나는 500g 미만의 신생아도 생존율은 36.8%에 불과하다.

 예랑이처럼 300g 미만으로 태어나면 생존율이 1%에도 미치지 못할 정도지만, 기적의 생존을 보여줬다고 병원은 전했다.

 예랑이는 퇴원 후 첫 외래 진료일이었던 전날에도 건강한 모습으로 병원을 찾아 의료진들을 안심시켰다.

 장윤실 모아집중치료센터 센터장은 "예랑이는 앞으로 태어날 모든 저체중 미숙아의 희망이 될 아이"라며 "의학적 한계 너머에서도 생명의 불씨를 살릴 더 많은 기회를 찾기 위해 모두의 관심과 지원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전남대, 삼중 항암 면역치료법 개발
광열치료·항암백신·면역관문억제제를 혼합해 암의 재발과 전이를 억제하는 복합면역치료법이 전남대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전남대는 3일 이준행(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이시은(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약리학교실)·박인규(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교수 연구팀이 새로운 암면역치료법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암세포에 빛을 쬐어 없애는 광열치료, 높은 온도에서도 효능을 잃지 않는 플라젤린 면역증강제 첨가 면역 백신, 면역관문억제제 등을 병합해 암의 재발과 전이를 억제하는 복합암면역치료법을 개발했다. 기존 면역치료법인 면역관문억제제와 암 백신은 각각 종양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으나, 종양이 만들어내는 복잡하고 억제적인 미세환경(TME)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했다. 또 광열치료는 빛을 이용해 암세포를 제거하고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장점이 있지만, 치료에 사용되는 높은 열이 오히려 면역을 조절하는 주요 인자의 기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타깃 할 수 있는 '종양 특이적 나노입자'를 활용해 광열치료 효과를 최적화했고, 면역 백신과 면역관문억제제 등 3가지를 함께 적용하는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