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 원격 제어 성공…맞춤형 재생치료 가능성 제시"

고려대 "자성 나노막대로 연결성 조절…재생 치료에 적용"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 강희민 교수 연구팀이 수학적 모델링으로 세포외기질(ECM)을 모사해 줄기세포를 원격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세포외기질(ECM)은 세포 밖 물질이지만 세포와 밀접하게 연관돼 세포의 행동을 조절하는 네트워크 구조체를 말한다.

 골절, 치주염, 뇌 손상 등 병리학적 상태를 복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 생의학 분야에서 ECM을 모사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세포외기질에 존재하는 단백질 속 세포 부착을 매개하는 물질인 리간드(ligand·연결물질)를 이용해 ECM 연결성을 조절하려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지만, 리간드 연결성을 차단하거나 동적으로 제어하지 못해 리간드가 고정적으로 항상 연결된 상태로 남아 있다는 문제가 있다.

 자성을 띤 ㎚(나노미터·1㎚는 100만분의 1㎜) 크기의 막대를 이방성(특정 방향에 따라 물성이 달라지는 특성)을 갖도록 합성한 뒤 자기장을 통해 리간드 연결성을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자성 나노막대의 배치를 정렬 혹은 상승 상태로 바꿔 리간드 연결성을 가역적으로 조절하고 이를 통해 줄기세포의 기계적 신호 전달, 분화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강희민 교수는 "줄기세포의 행동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혁신적인 시스템을 통해 맞춤형 재생 치료와 조직 재생 연구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연구 의의를 설명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Nature Communications) 지난 23일 자에 실렸다.

줄기세포 원격 제어 시스템 개발한 고려대 연구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