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원숭이·쥐 뇌의 공통점은…"고차원 인지에 시간 투자"

KAIST·美 존스홉킨스대, 포유류 뇌 신경활동의 시간 패턴 확인

 한국과 미국의 공동 연구팀이 포유류를 대상으로 뇌 신경활동을 처리하는 데 드는 시간 패턴을 분석해 뇌 신경망 구조를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제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백세범·정민환 교수와 미국 존스홉킨스대 이대열 교수 공동 연구팀이 다양한 포유류 종의 뇌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영역별 신경 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패턴을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뇌에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는 겉 부분인 대뇌피질은 시각·청각·촉각 등 일차원적인 감각 정보를 담당하는 하위 영역부터 전전두엽 피질과 같이 고차원적인 인지 기능을 담당하는 영역까지 위계적 구조로 구성돼 있다.

 뇌의 상위 영역으로 갈수록 정보 처리에 상대적으로 시간이 오래 걸린다.

 기존 연구에서 인간, 원숭이, 설치류 등 포유류별로 뇌 대뇌피질 영역에서 자발적 신경 활동(아무 활동도 하지 않을 때)을 할 때 뇌의 위계가 높을수록 처리 시간이 길어지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하지만 실제로 정보를 표상(表象)할 때 처리 시간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는 알려진 바 없다.

 연구팀은 실제 의사 결정 행동 등 작업을 수행할 때 원숭이, 쥐(rat), 생쥐(mouse)의 뇌 신경활동을 측정, 자발적 신경 활동을 할 때와 같은 경향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이런 특성이 영장류와 설치류 등 포유류에 공통으로 나타남을 확인함으로써 포유류의 뇌 진화 과정에서 과제를 처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중요한 공통의 변수임을 밝혔다.

 또 뇌 중심부에 위치한 시상의 경우, 대뇌피질에 감각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등 대뇌피질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음에도 뇌의 하위·상위 영역 처리에 따른 시간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백세범 교수는 "뇌의 대뇌피질은 시상과 달리 정보가 피드백(역방향)과 피드포워드(순방향)으로 서로 얽히고설켜 순환 구조를 이루고 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포유류 뇌의 신경망 회로 구조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지난 13일 자에 실렸다.

KAIST·미 존스홉킨대 공동 연구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