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에이티앤씨와 '치매 극복' 연구 협력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9일 서울 도곡 캠퍼스에서 디지털 헬스케어기업인 에이티앤씨(AT&C)와 치매 극복을 위한 포괄적 상호 협력 협약을 했다고 밝혔다.

 두 기관은 혁신적인 뇌 질환 디지털 치료 장비 개발에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에이티앤씨는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기를 국내 최초로 개발해 식약처로부터 임상시험 허가를 받았고 안전성을 평가하는 1상과 일부 환자를 대상으로 효능을 검사하는 2상을 통과, 현재 대규모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에이티앤씨는 연구 협력을 통해 파킨슨병, 뇌졸중, 경도인지장애, 수면장애 등에 폭넓게 적용하는 장비 기술과 KAIST의 웨어러블 기술을 활용, 가정에서도 뇌 기능을 향상하고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휴대용 장비를 개발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3년 이내에 첨단 디지털 장비 개발을 목표로 30억원 규모의 연구비 등을 지원해 KAIST에 디지털 헬스케어 연구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분만취약지 지원에도 산부인과 의사 감소…돈만으론 해결 안돼"
분만 의료 이용이 어려운 분만취약지 내 의료기관 운영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역의 전체 산부인과 의사 수는 오히려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재정적' 지원만으로는 지역 필수의료를 확충하기 위한 의료인력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장원모 서울대병원 운영 서울시보라매병원 공공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분만취약지 지원사업이 시작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가임기 여성 1천명 당 산부인과 전문의 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최근 대한의학회지(JKMS)에 게재했다. 분만취약지 지원사업은 분만 의료 이용이 어려운 지역을 분만 취약지로 지정하고, 시설·장비비와 운영비 등을 지원하는 제도다. 60분 내 분만 의료 이용률이 30% 미만이거나, 60분 내 분만할 수 있는 의료기관에 접근 불가능한 인구 비율이 30% 이상인 곳 등이 분만취약지로 지정된다. 연구에 따르면 분만취약지 지원사업 정책이 시행된 후 가임기 여성 1천명 당 산부인과 전문의 수는 도리어 3.39명 줄었다. 전일제로 근무하는 산부인과 전문의는 0.083명 늘었으나, 시간제 근무 전문의 수가 3.47명 감소하면서 증가분을 상쇄했다. 분만취약지 지원사업 시행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