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에이티앤씨와 '치매 극복' 연구 협력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9일 서울 도곡 캠퍼스에서 디지털 헬스케어기업인 에이티앤씨(AT&C)와 치매 극복을 위한 포괄적 상호 협력 협약을 했다고 밝혔다.

 두 기관은 혁신적인 뇌 질환 디지털 치료 장비 개발에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에이티앤씨는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기를 국내 최초로 개발해 식약처로부터 임상시험 허가를 받았고 안전성을 평가하는 1상과 일부 환자를 대상으로 효능을 검사하는 2상을 통과, 현재 대규모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에이티앤씨는 연구 협력을 통해 파킨슨병, 뇌졸중, 경도인지장애, 수면장애 등에 폭넓게 적용하는 장비 기술과 KAIST의 웨어러블 기술을 활용, 가정에서도 뇌 기능을 향상하고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휴대용 장비를 개발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3년 이내에 첨단 디지털 장비 개발을 목표로 30억원 규모의 연구비 등을 지원해 KAIST에 디지털 헬스케어 연구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짬뽕 좋아하는데 짜장면 당기는 이유는…뇌 의사결정 원리 규명
짬뽕을 좋아해 중식당을 찾았는데 다른 손님들이 죄다 짜장면을 먹고 있다면, 갑자기 짜장면이 당기는 이유는 뭘까.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정동일 바이오메디컬공학 교수팀이 미국 버지니아공대 연구진과 함께 불확실한 상황에서 타인의 선택이 개인의 의사 결정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 연구 결과를 내놨다고 10일 밝혔다. 정 교수팀에 따르면 사회적 맥락에서 의사결정은 '개인의 선호'와 '타인의 선택'을 통합한 가치판단 과정을 거쳐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연구진은 뇌가 개인의 선호 정보에 접근할 수 없을 때, 어떠한 전략을 취하는지를 밝히고자 이번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 뇌는 타인의 선택이라는 사회적 정보를 '휴리스틱 전략'을 통해 개인 의사결정에 반영한다. 휴리스틱이란 시간이나 정보가 불충분해 합리적 판단을 할 수 없거나 굳이 합리적 판단이 필요 하지 않은 상황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사용하는 추론 방식을 말한다. 즉 사람은 개인 선호를 반영한 가치판단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남의 선택을 모방하는 지름길을 택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불확실한 정보를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 영역인 '섬피질'이나 '배측 전측대상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