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맞춤형 비만치료제 개발…디지털 치료와도 융합"

한미약품 최인영 R&D 센터장 간담회…"근육량 감소 등 부작용 최소화한 치료제 필요"

 "개별 비만 환자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치료제를 개발하는 게 목표입니다."

 15일(현지시간) 한미약품 최인영 R&D 센터장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막한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기간 진행한 간담회에서 이 같은 구상을 밝혔다.

 한미약품은 이번 콘퍼런스에서 파이프라인 등을 홍보하며 글로벌 기업과 협력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올해 콘퍼런스에서는 비만치료제가 특히 주목받았다고 최 센터장은 말했다.

 GLP-1은 음식을 섭취했을 때 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혈당 조절에 중요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 식욕 억제를 돕는다.

 HM15275는 GLP-1, 인슐린 분비 자극 펩타이드(GIP), 에너지 소비를 촉진해 체중 감소 효과를 내는 글루카곤(GCG) 등 3개 수용체의 작용을 최적화한다. GIP는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약리학적 이점을 향상하며 GCG는 혈당 및 포만감 조절 등에 관여한다.

 최 센터장은 이들 비만치료제에 대해 "각 환자 특성에 맞는 약을 개발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심혈관계 위험이 높은 비만 환자는 에페글레나타이드를, 지방간 등에 문제가 있는 환자는 삼중 작용제를 활용하는 것이 대표적 예시"라고 설명했다.

 근육량 감소, 오심·구토 등 기존 비만치료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도 집중하고 있다고 최 센터장은 부연했다.

 비만치료제와 디지털 치료의 융합도 추진한다.

 최 센터장은 "비만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생활 습관"이라며 "환자의 규칙적 생활과 운동 등을 돕는 디지털 기술과 비만치료제를 접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앞서 한미약품은 운동 중재 기반 디지털 치료제 개발 기업 베이글랩스와 디지털 치료기기를 접목한 비만 관리 설루션을 공동 개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새 질병청장 "mRNA 백신 개발 적극 지원…노쇠 예방사업 추진"
제4대 질병관리청장으로 취임한 임승관 청장은 14일 "질병청이 감염병 재난을 비롯한 공중보건 위기의 컨트롤타워가 돼 국가 보건안보 역량을 키우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임 청장은 이날 충북 청주 오송의 질병청 청사에서 연 취임식에서 "질병청이 국민 건강과 안전을 지킬 수 있게 하겠다"며 향후 역점을 둘 과제를 소개했다. 임 청장은 "한국의 팬데믹(전염병 대유행) 대응 과정에서 부족했던 점, 취약했던 점을 살펴보고 이를 보완해 앞으로 나아가겠다"며 "그간 질병청이 준비한 각종 중장기 계획과 데이터 플랫폼을 바탕으로 질병청 주도로 국가 감염병 대응 체계를 정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넥스트 팬데믹 대응의 핵심 열쇠인 메신저 리보핵산(mRNA) 플랫폼 국산화를 위해 올해부터 시작한 mRNA 백신 개발 지원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며 "이제 더는 낯설지 않은 기후·인구위기 시대에서 중장기적 관점으로 국가 질병 관리정책의 토대를 쌓아가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폭염, 폭우 등 기후재난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자 건강영향 감시·조사체계를 구축하겠다"며 "초고령사회에서 지역 커뮤니티 중심으로 노쇠 예방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코로나19 대응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국립암센터, '암 예방을 위한 식생활 지식 교과서' 발간
국립암센터는 대한암예방학회와 공동으로 '암 예방을 위한 식생활 지식 교과서(Fact Book)'를 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교과서는 식생활이 암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정리하고, 국민이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제작됐다. 통곡물·육류·생선·콩류·채소와 과일·유제품·음료·지방·당류 등 다양한 식품군은 물론, 특정 식습관과 조리 방법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으며 암 예방을 위한 종합적인 식생활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전체 암 발생의 30∼50%가 건강한 생활 습관을 통해 예방 가능하다고 밝히고 있으며, 이 중 식습관은 개인이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예방법으로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단편적인 정보나 과장된 식품 광고가 범람하며, 특정 식품이나 성분에 대한 잘못된 믿음이나 과도한 기대를 유도해 건강한 생활 습관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국민의 혼란을 가중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이에 국립암센터는 암 예방과 관련된 식생활 정보를 보다 명확하고 균형 있게, 과학적 근거에 기 반해 전달하고자 이번 지식 교과서를 기획했다. 양한광 국립암센터 원장은 "이번 교과서가 국민의 건강한 식생활 실천을 위한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