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 안 되는 짧은 영상 '숏폼'…뇌가 썩는다?

 분명 1분이 채 안 되는 짧은 영상이었는데 보다 보면 하루가 훌쩍 지나갑니다.

 무심코 몇 시간씩 스크롤을 하고 나면 공허한 기분이 드는데요. 바로 이것을 '뇌 썩음'이라고 합니다.

 옥스퍼드대 출판부는 지난해 12월 과도한 온라인 콘텐츠 소비로 뇌가 멍해지는 상태인 '뇌 썩음'을 2024년 '올해의 단어'로 발표했습니다.

 특히 20대 이하에서는 약 85%가 이용하고 있을 정도로 숏폼 영상 시청률이 높았습니다.

 이렇게 짧고 흥미진진한 영상들이 정말 우리 뇌를 썩게 할까요?

 이인아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교수는 "숏폼 콘텐츠가 뇌 썩음을 일으킨다기보다는 인지 기능의 저하를 가져온다는 게 포인트인 것 같다"면서 "짧은 집중만을 하는 훈련을 받으면 뇌는 환경이 그걸 요구한다고 착각하고 그렇게 변한다. 더 이상 긴 집중력을 가져야 하는 그런 콘텐츠는 다루지 못하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23년 실시한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에 따르면 숏폼 서비스 이용자 중 23%가 이용 시간 조절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는데요.

 전문가들은 인간의 뇌가 보상이 빨리 주어질수록 그 행동을 반복하도록 진화했기 때문에 짧고 강한 자극을 주는 숏폼 영상을 놓을 수 없게 된다고 설명합니다.

 신영철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자동 스크롤을 통해 SNS를 보다 보면 자기도 모르게 시간이 빨리 흘러간다. 즉, '시간 왜곡 현상'이 일어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SNS를 이용하는 정확한 시간을 파악하고, 중요한 시간에는 스마트폰을 잠시 내 몸과 떨어뜨리는 훈련을 한다던가, 이용 시간 한계를 명확하게 설정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콘텐츠의 홍수'라 불릴 만큼 숏폼 영상이 넘쳐나는 지금, 뇌 건강을 지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자극적인 콘텐츠들에 피로감을 느껴 자발적으로 디지털 디톡스를 실천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휴대전화를 일정 시간 동안 이용하지 못하도록 잠그는 '금욕 상자'를 구매하거나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 없는 책방 등에 방문하기도 합니다.

 김문 '소수책방' 책방지기는 "처음에는 디지털 디톡스를 하고 나서 어색해하고 놀라워도 하고 재미있어하는 분들도 있는데, 나중에는 핸드폰을 잊어버릴 정도로 너무 좋은 경험이었다고 말한다"고 전했습니다.

 포브스는 최근 '뇌 썩음'을 조명하면서 건강한 두뇌를 만드는 습관을 소개했는데요.

 오메가3, 비타민B가 풍부한 음식 섭취, 유산소 운동과 걷기, 의식적인 심호흡과 명상, '멀티 태스킹' 하지 않기 등을 실천하라고 했습니다.

 이인아 교수는 "숏폼을 안 보면 계속 그걸 보는 것보단 낫겠지만 안 볼 때 뭘 하느냐가 중요하다"면서 "숏폼에서 멀어질 수 있는 자기만의 강력한 대안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필수의료 분야 의료사고 배상보험료, 정부가 50∼75% 지원
산부인과와 소아과 등 필수의료 분야에 종사하는 의료진의 의료사고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가 배상보험료의 50∼75%를 지원한다. 보건복지부는 필수의료 의료진 배상보험료 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로 하고, 27일부터 내달 11일까지 15일간 사업에 참여할 보험사를 공모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필수의료 분야 의료사고에 대한 국가 책임을 강화한다는 국정과제의 일환이다. 생명과 직결되는 필수의료 분야는 의료사고 발생 위험도 상대적으로 큰 데다 고액 배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이 같은 의료사고 리스크가 그간 의사들이 필수의료를 기피하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돼 왔다. 의료사고에 대비해 민간 보험사와 대한의료협회 의료배상공제조합이 배상보험을 운영하고 있지만, 의료기관의 보험 가입률도 높지 않고 보장한도도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필수의료 의료진의 배상 부담을 완화하고, 환자의 피해 회복도 돕기 위한 안전망으로 필수의료 특성에 맞는 배상보험을 설계하고 배상보험료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올해 50억2천500만원의 예산이 편성됐다. 보험료 지원 대상은 필수의료 분야 전문의와 전공의다. 전문의의 경우 분만 실적이 있는 산부인과(의원급·병원급)와


메디칼산업

더보기
셀트리온홀딩스, 셀트리온 주식 매입 7천억원으로 확대 추진
셀트리온그룹 지주회사인 셀트리온홀딩스는 주주들과 약속한 셀트리온 주식 매입 규모를 당초 5천억원대에서 7천억원 규모로 확대할 방침이라고 28일 밝혔다. 홀딩스는 지난 7월 수익성 개선 및 자회사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대규모 셀트리온 주식 매입 계획을 밝히고, 이달 말까지 약 4천억원 매입을 진행 중이다. 이후 셀트리온은 바로 약 2천880억원 규모의 추가 매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매입이 끝나면 홀딩스가 지난 5월 취득한 약 1천200억원 규모의 주식을 포함해 올해만 총 8천억원이 넘는 셀트리온 주식을 취득하게 된다. 홀딩스 관계자는 셀트리온의 주식 저평가가 지속될 경우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1조까지 주식 매입 확대를 검토하겠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홀딩스는 셀트리온이 건실한 사업 펀더멘털에도 셀트리온헬스케어(소멸법인)와 합병을 진행하면서 단기 원가율 상승 및 무형자산 상각 등으로 영업이익의 일시적 압박을 받고 있다고 보고 주주가치 제고와 셀트리온 저평가 최소화를 위해 주식 장내 매입을 지속해 왔다. 앞서 셀트리온은 올해 약 9차례에 걸쳐 총 8천500억원어치의 자사주를 매입했고, 소각 규모도 올해만 약 9천억원에 이른다. 그룹 최고수장인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