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 증상 많은 청소년, 담배·전자담배 위험 50% 이상 높아"

美 연구팀 "청소년 ADHD 조기 진단·치료, 흡연 예방에 중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증상이 3가지 이상 있는 청소년은 ADHD 증상이 없는 경우에 비해 일반 담배나 전자담배를 사용할 위험이 50%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미시간대 숀 매케이브 박사팀은 미국의학협회 저널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서 청소년 1만3천여명을 대상으로 ADHD 증상과 담배 및 전자담배 사용 위험 간 연관성을 9년간 추적 조사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ADHD는 기능 장애, 주의력 부족, 과잉 행동 등이 특징으로, 미국 어린이와 청소년에서 가장 흔한 정신과 질환 중 하나이며 20년간 유병률이 증가, 9명 중 1명(11.4%. 2022년 기준)이 ADHD 진단을 받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ADHD는 흡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ADHD 치료 여부 및 증상의 심각도 등과 흡연 간 연관성은 아직 알려진 바 없으며 특히 전자담배 사용 급증 등으로 청소년 흡연 환경도 크게 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참가자 중 ADHD 진단을 받은 청소년은 1천881명(14.1%)이었고, 5천186명(38.4%)은 ADHD 증상이 1~2개, 4천840명(36.3%)은 ADHD 증상이 3개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ADHD 증상이 전혀 없는 청소년은 3천527명(25.3%)이었다.

 분석 결과 ADHD 증상이 3개 이상인 청소년은 약물 치료 여부와 관계 없이 ADHD 증상이 없는 경우보다 일반 담배 흡연 위험이 52% 높았고, 전자담배 사용 위험은 60%, 두 가지 담배를 모두 사용할 위험은 72%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ADHD 진단을 받은 청소년 가운데 증상이 심한 청소년은 증상이 없는 청소년에 비해 전자담배를 사용할 위험이 68%, 전자담배와 일반 담배를 모두 사용할 위험은 82%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ADHD 증상과 일반 담배 및 전자담배 사용 사이에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청소년의 ADHD 증상을 완화하고 담배 사용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ADHD 조기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가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 출처 : JAMA Network Open, Sean McCabe et al.,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Symptoms and Later E-Cigarette and Tobacco Use in US Youths', http://jamanetwork.com/journals/jamanetworkopen/fullarticle/10.1001/jamanetworkopen.2024.58834?utm_source=For_The_Media&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ftm_links&utm_term=021125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화 필요성 공감했지만…국회·의료계 수장 회동 '제자리'
1년째 이어지는 의정 갈등의 해소에 속도를 붙일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우원식 국회의장과 대한의사협회(의협)·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의 회동이 대화 필요성에 대한 공감을 끌어냈지만, 별다른 성과 없이 원점 수준에서 마무리됐다. 의협은 미래 의료의 주역인 전공의 측에 힘을 실어줬고, 전공의 측은 업무개시명령 폐지 등 1년 전부터 강조한 7대 요구 사안의 선결을 고수했다. 우 의장이 대화 등을 통해 국회가 적극적으로 문제 해결에 나서겠다고 공언했지만, 뾰족한 해법이 도출되지 않은 상황에서 협상 당사자인 정부와 의료계의 대화마저 막혀 있어 사태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에는 상황이 여전히 녹록지 않다. ◇ 국회의장-의협회장·전공의 대표 전격 회동 17일 정치권과 의료계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우 의장은 국회에서 김택우 의협 회장과 박단 대전협 비대위원장을 만나 의료갈등 문제를 논의했다. 이날 만남에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도 동석했다. 우 의장은 모두발언에서 "한 자리에 모여 진솔하게 얘기하면 신뢰가 생기고, 그 신뢰 속에서 문제를 해결할 출발점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소통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모든 것을 내놓고 얘기하면 풀리지 않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