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찾은 자해·자살 시도자 한해 4만6천명…45%가 '1020'

2023년 통계…자해·자살 시도자 중 사망은 50대에서 가장 많아

 2023년 한해 응급실을 방문한 자살·자해 시도자가 4만6천명을 넘었고, 이 중 절반 가까이가 10∼2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에 따르면 2023년 전국 센터급 이상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583만676건 중 자해·자살 시도자는 4만6천359건으로 집계됐다.

 성별로는 여성이 2만9천607건으로 63.9%를 차지했고, 남성은 1만6천752건이다.

 연령별로 보면 남녀 모두 20대가 가장 많았다.

 20대가 1만2천592건, 10대가 8천308건으로 전체 자해·자살 시도자의 각각 27.2%, 17.9%였다.

 10∼20대 자해·자살 시도는 2만900건으로 전체의 45.1%를 차지한다.

 이 밖의 연령대에선 30대 6천590건, 40대 6천159건, 60대 3천441건, 70대 2천81건, 80대 이상 1천839건 순이었다.

 인구 10만명 당으로 봐도 20대 200.2건, 10대 177.9건, 30대 100.4건 순으로 많았다.

 응급실을 찾은 자해·자살 시도자 중 사망으로 이어진 사례는 2천289건이었는데, 50대와 40대 등 중년에서 많이 발생했다.

 자해·자살 시도자 사망 건수는 50대 372건, 40대 348건, 60대 338건 순이다.

 인구 10만명당으로 산출하면 자해·자살 시도자의 사망은 4.5건 발생했고, 이때는 80대 이상이 13.7건으로 확연히 높았다.

 이어 70대 8.1건, 60대 4.5건이다.

 자해·자살 시도자의 손상 원인은 중독, 베임·찔림, 질식 순으로 많았다.

 모든 연령대에서 중독이 1위다.

[중앙응급의료센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4개 보훈병원,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은 보건복지부로부터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 대상 병원에 중앙·부산·광주·대구보훈병원이 공식 지정됐다고 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의 필수 의료를 책임지는 종합병원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정부는 필수 의료 기능 강화 지원과 기능 혁신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성과지원금 등 재정적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 주요 내용은 ▲ 적정진료 ▲ 진료 효과성 강화 ▲ 지역의료 문제 해결 ▲ 진료 협력 강화의 4대 기능 혁신 추진이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이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안심하고 진료받는 여건을 조성한다. 이번 선정은 보건복지부가 구성한 평가 자문단의 심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4개 보훈병원은 ▲ 급성기병원 의료기관 인증 ▲ 지역응급의료기관 지정 ▲ 350개 이상의 수술 및 시술 항목 보유 등 모든 선정 기준을 충족해 서울, 부산, 광주, 대구 지역의 필수 의료를 담당할 종합병원으로 인정받게 됐다. 각 지역 보훈병원은 이달부터 포괄 진료 역량 강화를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 이번 지정을 계기로 지역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서 필수 의료 제공 기능 강화, 응급의료 및 중증질환 치료를 포함한 예방·재활·만성질환 관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