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보의 배치 안 된 보건지소 40.1%"

보건사회연구원, 60개 인구감소지역 보건소장 설문…"평균 3.6명 부족"

 인구가 줄어 소멸이 우려되는 '인구감소지역' 내 보건지소 40% 상당은 의과 공중보건의사(공보의)가 배치되지 않았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2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9월 19일부터 10월 11일까지 60개 인구감소지역의 보건소장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의과 공보의가 배치되지 않은 보건지소의 비율은 40.1%로 나타났다.

 한의사, 치과의사를 제외한 의과 부문 공보의만을 조사한 수치다. 보건지소는 시군구별 보건소 아래 읍·면 단위로 설치되는 지소 개념이다.

 설문 결과 보건소와 보건지소가 정상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필요한 공보의 수는 평균 12.1명인데, 현재 배치된 공보의 수는 평균 8.5명으로 3.6명이 부족했다.

 조사 대상 지역별로 공보의가 미배치된 보건지소 수의 경우 3∼4개라는 응답이 38.3%로 가장 많았고, 5개 이상도 33.3%에 달했다. 1∼2개라는 응답은 28.3%였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현재 공보의가 배치되지 않는 지역에서는 요일별 순환진료 등을 통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일례로 전북 남원시 내 15개 면 지역에 설치된 보건지소는 공보의 6명이 순회진료를 하며 운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공보의 부족 현상 등을 고려해 보건지소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재구조화가 매우 필요하다는 응답은 전체의 63.3%에 달했다.

 공보의 제도는 농어촌 등 보건의료 취약지 주민 등에 보건의료를 제공하고자 1978년 관련 법 제정과 함께 시행돼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2010년까지 매년 1천명 안팎에 달하던 신규 의과 공보의는 2022년 511명으로 줄었고, 보건지소에 배치된 의과 공보의도 처음 3천명 아래로 내려왔다.

 2023년에 신규 배출된 공보의는 총 1천107명(의사 449명·치과의사 251명·한의사 407명)이다.

 같은 해 말 기준으로 3천175명의 공보의 중 2천716명(85.5%)이 시·군 보건소 또는 읍·면 보건지소에 배치돼있다.

 나머지는 국공립병원, 병원선·이동진료반, 교정시설 등에서 근무 중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