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근버스, AI로 모니터링…졸음운전 '0'·신호위반 64%↓

한국교통안전공단, LG전자 14대 시범운행…올해 전 사업장 장거리 버스 적용

  LG전자 통근버스에 인공지능(AI)을 적용해 운전자의 행동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경고했더니 위험 운전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지난해 9∼11월 LG전자 창원사업장 장거리(경남·부산) 노선 통근버스 14대에 AI 안전운전 설루션을 시범 도입한 결과 운전자 안전 점수가 48.4점에서 82.3점으로 70% 향상됐다고 17일 밝혔다.

 설루션 도입 이전인 지난해 8월과 11월을 기준으로 운전자의 위험 운전 횟수(운행거리 1천㎞ 기준)를 비교하니 불법 유턴은 80.3%, 신호 위반은 64.2% 줄었다. 중앙선 침범은 56.7% 감소했다.

 특히 졸음운전은 지난해 8월 0.135건에서 10월에는 0.009건으로 급감했다가 11월에는 아예 '0건'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운전 지표 개선 인포그래픽

 AI 안전운전 설루션을 도입한 버스는 공회전 시간이 43% 줄어드는 등 경제운전 지표도 개선됐다.

 LG전자는 창원 사업장의 시범 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이 설루션을 자사 모든 사업장의 장거리 노선 통근버스에 추가 장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단은 AI 안전운전 설루션이 전세 통근버스 등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 민간 기업, 지방자치단체, 운수 조합 등과 협력할 계획이다.

 정용식 공단 이사장은 "통근버스 운전자들의 위험 운전 습관을 스스로 개선하는 효과를 얻었다"며 "앞으로도 AI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국민이 안전한 교통 이용환경을 조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4개 보훈병원,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은 보건복지부로부터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 대상 병원에 중앙·부산·광주·대구보훈병원이 공식 지정됐다고 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의 필수 의료를 책임지는 종합병원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정부는 필수 의료 기능 강화 지원과 기능 혁신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성과지원금 등 재정적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 주요 내용은 ▲ 적정진료 ▲ 진료 효과성 강화 ▲ 지역의료 문제 해결 ▲ 진료 협력 강화의 4대 기능 혁신 추진이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이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안심하고 진료받는 여건을 조성한다. 이번 선정은 보건복지부가 구성한 평가 자문단의 심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4개 보훈병원은 ▲ 급성기병원 의료기관 인증 ▲ 지역응급의료기관 지정 ▲ 350개 이상의 수술 및 시술 항목 보유 등 모든 선정 기준을 충족해 서울, 부산, 광주, 대구 지역의 필수 의료를 담당할 종합병원으로 인정받게 됐다. 각 지역 보훈병원은 이달부터 포괄 진료 역량 강화를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 이번 지정을 계기로 지역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서 필수 의료 제공 기능 강화, 응급의료 및 중증질환 치료를 포함한 예방·재활·만성질환 관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