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원 등 사회복지시설 결핵 발생 15% 증가…타 집단시설 결핵 발생은 줄어

  최근 4년 사이 국내 집단시설 내에서의 결핵 발생이 꾸준히 줄고 있지만, 요양원 같은 사회복지시설에서만 유독 15% 가까이 결핵 환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결핵통합관리시스템에 보고된 집단시설 역학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집단시설 내 결핵 환자 발생 보고는 2019년 8천45건에서 2023년 6천205건으로 줄었다. 연평균 6.3%씩 감소한 셈이다.

 국가결핵관리지침에 따른 집단시설은 학교, 사회복지시설, 의료기관, 군부대·경찰, 교정 시설, 사업장, 그 밖의 시설 등으로 나뉜다.

 시설별로 보면 군부대·경찰 시설에서의 결핵 발생 건수는 2009년 130건에서 2023년 49건으로 62.3% 급감했다.

 학교에서의 발생 건수도 935건에서 409건으로 절반 이상 줄었다.

 환자들이 모여 있는 의료기관에서도 1천160건에서 913건으로 21.3% 감소했다.

 이런 추이는 다른 집단시설에서도 마찬가지였으나 유일하게 사회복지시설에서는 결핵 발생 건수가 1천254건에서 1천442건으로 15.0% 늘었다.

 이에 따라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역학 조사도 925건에서 1천38건으로 12.2% 증가했다.

 사회복지시설 내 결핵 환자의 접촉자 수는 2023년 3만5천764명으로, 전체 집단시설의 41.4%를 차지했다.

 2019∼2023년 전체 사회복지시설의 접촉자 10만명당 추가 결핵 환자는 평균 158.0명으로, 집단시설 중 가장 많았다.

 질병관리청 연구진은 복지시설 이용·거주 노인 인구가 2019년 26만6천명에서 2023년 38만7천명으로 늘어난 것이 이런 증가세의 배경이라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최근 65세 이상 결핵 환자의 비율이 높아지고 사회복지시설에 사는 노인 인구가 증가했다"며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결핵 퇴치를 위해 고령층 접촉자 관리가 더욱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질병관리청은 2027년까지 인구 10만명당 결핵 환자를 20명 이하로 낮추는 목표를 달성하고자 제3차 결핵관리종합계 획(2023∼2027년)을 추진 중이다.

집단시설 결핵 역학조사 현황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혈액·소변검사 뒤에 숨은 수십 년 관행, 정부가 칼 뺐다
병원에서 흔히 받는 피검사나 소변검사. 정확한 진단과 치료의 첫걸음인 이 검사들의 신뢰도를 위협하는 수십 년 묵은 관행에 정부가 드디어 칼을 빼 들었다. 검사를 의뢰하는 동네 병의원과 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검사센터 사이의 비정상적인 비용 정산 구조를 바로잡아, 최종적으로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의료계는 현실을 무시한 조치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해묵은 관행 개선을 둘러싼 진통이 예상된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최근 논란이 돼온 검체검사 위탁검사관리료(이하 위탁관리료)를 폐지하고, 위탁기관(병의원)과 수탁기관(검사센터)이 검사 비용을 각각 청구하는 '분리 청구' 제도를 도입하겠다는 입장을 공식화했다. 이는 내년 시행을 목표로, 이르면 다음 달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 상정될 예정이다. 문제의 핵심은 병의원과 검사센터 간의 고질적인 비용 정산 관행이다. 현재 건강보험은 혈액검사 등에 드는 비용(검사료)의 110%를 검사를 의뢰한 병의원에 지급한다. 병의원은 이 중 10%의 관리료를 제외한 100%를 검사를 진행한 검사센터에 보내주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수많은 검사센터가 병의원과의 계약을 위해 이 검사료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