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헐적 단식, 수컷 생쥐 성욕 높여…성욕감소장애 치료 단서"

獨·中 연구팀 "단식한 수컷, 짝짓기·새끼 수 증가…세로토닌 저하가 원인"

 수컷 생쥐에게 24시간 주기의 간헐적 단식을 장기간 하게 하면 뇌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의 농도가 낮아지면서 성욕이 증가해 짝짓기 등 성적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신경퇴행성질환 센터(DZNE) 댄 에닝거 박사와 중국 칭다오대 위 저우 교수팀은 31일 과학 저널 셀 메타볼리즘(Cell Metabolism)에서 24시간 주기의 간헐적 단식을 장기간 한 늙은 수컷 생쥐가 비정상적으로 새끼를 많이 낳는 현상을 분석,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는 성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로토닌의 합성에 필요한 필수 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이 장기간의 간헐적 단식으로 부족해져 일어난 현상이라며 인간에게도 유사한 메커니즘이 있을 수 있고 간헐적 단식이 성욕감소장애에 대한 치료법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단식이 수컷 생쥐의 새끼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 연구를 하던 중 장기간 단식한 늙은 수컷 생쥐가 비정상적으로 많은 수의 새끼를 낳는다는 사실이 우연히 발견되면서 시작됐다.

 에닝거 박사는 "단식한 수컷은 자유롭게 먹을 수 있는 생쥐보다 암컷과 훨씬 더 많은 성적 접촉을 했고 새끼도 나이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많이 낳았다"며 "이들의 짝짓기 행동은 나이로 볼 때 생리적 한계를 넘어서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그 원인을 밝혀내기 위해 생후 2개월부터 수컷 생쥐들에게 24시간 동안 자유롭게 먹게 하고 다음 24시간은 물만 먹게 하는 간헐적 단식을 최장 22개월 동안 실시한 다음 단식하지 않은 생후 3개월 된 암컷과 만나게 했다.

 그 결과 늙은 생쥐와 어린 생쥐 모두 간헐적 단식을 한 다음 짝짓기 행동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간헐적 단식 기간이 6주 이하로 짧을 경우에는 이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칭다오대 저우 교수는 "간헐적 단식이 성욕을 증가시키려면 시간이 좀 걸린다"며 "성욕 증가에 필요한 최소 기간은 6주에서 6개월 사이인 것 같다"고 말했다.

 성적으로 활동적인 수컷 생쥐들을 조사한 결과, 일반적으로 성욕 억제 효과와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이 비정상적으로 낮아 성적으로 억제되지 않은 상태였고 조절 기능이 약화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로토닌은 주로 외장관에서 생성되지만, 뇌에서도 생성돼 신경세포(뉴런) 간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세로토닌 합성에는 필수 아미노산 트립토판이 필요한데 트립토판은 체내 합성이 안 돼 먹이를 통해 섭취해야 한다.

 에닝거 박사는 "단식한 생쥐는 대조군보다 열량 섭취량이 15% 정도 적었고 트립토판 섭취량도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며 "단식한 쥐의 세로토닌 부족은 단식의 결과임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이어 성욕 부족이 반드시 문제로 인식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부, 특히 노인층이 이로 인해 고통을 받는다면서 "이에 대한 더 자세한 조사가 필요하고 이 연구 결과를 치료에 적용할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 출처 : Cell Metabolism, Dan Ehninger et al., 'Intermittent fasting boosts sexual behavior by limiting the central availability of tryptophan and serotonin', http://dx.doi.org/10.1016/j.cmet.2025.03.001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인과 규명
순천향대 부속 천안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심세훈 교수팀은 최근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요인과 뇌신경생리학적인 요인 간의 연관성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비자살적 자해는 자살하려는 의도 없이 자기 신체에 고의적이고 반복적으로 해를 입히는 행위를 말한다. 심 교수는 원광대병원 윤성훈 교수(정신건강의학과)와 함께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51명과 자해 행동이 없는 청소년 50명의 뇌파를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자해 청소년은 특정 뇌 전극(nogo P3)의 뇌파 진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자해를 억제하기 위한 조절력이 손상되고, 주의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시사한다. 심 교수는 "뇌 전극의 이상은 심리학적으로 우울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연관이 깊다"며 "심리적 특성에 더해 뇌 우측 상부에 위치한 전두엽이랑에서 뇌 활성의 감소가 나타나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고, 자해로 이어지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뇌 전극의 이상을 보이는 청소년은 정서적 문제를 다루는 인지행동치료와 기분을 조절하는 약물치료가 동시해 시행되는 통합적 치료가 필요하다"며 "억제 조절력을 강화하고, 우울 증상 완화에 초점을 둔 맞춤형 치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