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망막의 혈관 밀도가 낮을수록 심혈관질환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안과 윤영희·양지명, 심장내과 이승환, 영상의학과 양동현 교수팀은 2015~2020년 가족력과 생활 습관 때문에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있어 관상동맥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를 받은 환자 가운데 안과 질환으로 망막 혈관 검사(OCTA)를 한 성인 1천286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망막 혈관 밀도가 낮을수록 관상동맥 칼슘 점수, 혈관 협착 정도와 같은 '죽상경화' 지표가 뚜렷하게 증가했다.
연구 결과를 세부적으로 보면 망막 표면 가까이에 모세혈관이 그물망처럼 퍼져 있는 층(표재 모세혈관총)의 혈관 밀도가 죽상경화 예측 인자로 분석됐다.
표재 모세혈관총의 혈관 밀도가 가장 낮은 그룹은 가장 높은 그룹보다 죽상경화 위험이 많게는 3배 이상 높았다.
폐쇄성 관상동맥질환(관상동맥이 50% 이상 좁아진 상태) 위험은 약 2.9배, 중증 관상동맥질환(관상동맥이 70~90% 이상 좁아진 상태) 위험은 약 3.3배, 심한 혈관 협착 위험은 3배 증가했다.
연구진은 다른 장기의 경우 침습적인 검사를 해야만 혈관을 관찰할 수 있는데 눈의 망막 혈관은 간단한 촬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승환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관상동맥 죽상경화는 대부분 무증상이었다가 급작스럽게 혈류 순환이 막힐 수 있어 위험하다"라며 "현재 무증상이더라도 가족력 등으로 심혈관질환 위험이 크거나 망막 혈관 밀도가 낮아진 상태라면 정기적 검진과 치료를 받을 것을 권장한다"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의사협회 심장학(JAMA Cardi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