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신속대응시스템' 4월부터 확대 실시 [연합]](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314/art_1743394525842_715b22.jpg)
일반병원 입원환자가 심폐정지, 다발성 장기부전 등 예기치 못한 위험을 겪는 것을 최대한 막기 위한 '신속대응시스템' 시범사업이 4월부터 확대 실시된다.
보건복지부는 2019년부터 45개 병원이 참여한 신속대응시스템 1·2단계 시범사업에 이어 올해부터 2027년까지 진행되는 3단계 시범사업에 상급종합병원 38곳, 종합병원 17곳 등 55곳이 참여한다고 31일 밝혔다.
신속대응시스템은 일반병원 입원환자 중 위험 징후를 보이는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전담팀이 즉각 개입해 환자의 상태 악화를 막는 환자 안전 관리체계다.
신속대응시스템에 참여하는 기관은 전문의와 전담간호사 등 인력을 배치하고 이동식 인공호흡기 등 필수장비를 갖춰야 한다.
참여 의료기관엔 인력배치 수준에 따라 수가(의료서비스 대가)를 차등 지급한다.
참여 병원에 입원한 환자는 본인이 원하면 고위험 상태 여부를 지속해서 모니터링 받을 수 있다.
정부는 2027년 말 3단계 시범사업이 끝나면 성과 평가를 거쳐 본사업 전환을 검토한다.
본사업을 추진할 땐 의료기관 여건에 맞춰 인력 운영을 더욱 탄력적으로 할 수 있게 성과 지원을 강화하는 방식을 검토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이번 시범사업 확대를 통해 더 많은 환자가 모니터링과 조기 개입 혜택을 받아 중환자실 입실률 감소, 병원 내 심정지 발생률 감소, 재원일수 단축 등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