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병동 입원환자 위험 징후에 신속대응…55개 병원서 시범사업

'신속대응시스템' 3단계 시범사업 내달 개시…참여기관에 수가 지급

 일반병원 입원환자가 심폐정지, 다발성 장기부전 등 예기치 못한 위험을 겪는 것을 최대한 막기 위한 '신속대응시스템' 시범사업이 4월부터 확대 실시된다.

 보건복지부는 2019년부터 45개 병원이 참여한 신속대응시스템 1·2단계 시범사업에 이어 올해부터 2027년까지 진행되는 3단계 시범사업에 상급종합병원 38곳, 종합병원 17곳 등 55곳이 참여한다고 31일 밝혔다.

 신속대응시스템은 일반병원 입원환자 중 위험 징후를 보이는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전담팀이 즉각 개입해 환자의 상태 악화를 막는 환자 안전 관리체계다.

 신속대응시스템에 참여하는 기관은 전문의와 전담간호사 등 인력을 배치하고 이동식 인공호흡기 등 필수장비를 갖춰야 한다.

 참여 의료기관엔 인력배치 수준에 따라 수가(의료서비스 대가)를 차등 지급한다.

 참여 병원에 입원한 환자는 본인이 원하면 고위험 상태 여부를 지속해서 모니터링 받을 수 있다.

 정부는 2027년 말 3단계 시범사업이 끝나면 성과 평가를 거쳐 본사업 전환을 검토한다.

 본사업을 추진할 땐 의료기관 여건에 맞춰 인력 운영을 더욱 탄력적으로 할 수 있게 성과 지원을 강화하는 방식을 검토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이번 시범사업 확대를 통해 더 많은 환자가 모니터링과 조기 개입 혜택을 받아 중환자실 입실률 감소, 병원 내 심정지 발생률 감소, 재원일수 단축 등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전남대, 삼중 항암 면역치료법 개발
광열치료·항암백신·면역관문억제제를 혼합해 암의 재발과 전이를 억제하는 복합면역치료법이 전남대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전남대는 3일 이준행(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이시은(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약리학교실)·박인규(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교수 연구팀이 새로운 암면역치료법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암세포에 빛을 쬐어 없애는 광열치료, 높은 온도에서도 효능을 잃지 않는 플라젤린 면역증강제 첨가 면역 백신, 면역관문억제제 등을 병합해 암의 재발과 전이를 억제하는 복합암면역치료법을 개발했다. 기존 면역치료법인 면역관문억제제와 암 백신은 각각 종양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으나, 종양이 만들어내는 복잡하고 억제적인 미세환경(TME)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했다. 또 광열치료는 빛을 이용해 암세포를 제거하고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장점이 있지만, 치료에 사용되는 높은 열이 오히려 면역을 조절하는 주요 인자의 기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타깃 할 수 있는 '종양 특이적 나노입자'를 활용해 광열치료 효과를 최적화했고, 면역 백신과 면역관문억제제 등 3가지를 함께 적용하는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