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I 촬영 없이 X선 사진으로 요추협착증 진단 AI 개발"

서울대병원, 인공지능 모델 개발…"진단 정확도 91.4%"

 자기공명영상(MRI) 장비 촬영 없이 엑스레이(X-ray) 사진으로 요추협착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이창현 교수 연구팀은 2005∼2017년에 촬영된 요추협착증 환자 2천500명과 정상인 2천500명의 엑스레이 사진을 토대로 요추협착증을 진단할 수 있는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요추협착증은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으로, 하반신에 통증이나 무감각·약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정확하게 진단하려면 MRI 촬영이 필요하나 고가의 검사비와 긴 촬영 시간, 중소형 규모의 병의원에서는 장비를 구비하지 않은 점 등으로 인해 환자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상황이었다.

 이에 연구팀은 허리를 바로 세운 중립, 허리를 앞으로 숙이는 굴곡, 허리를 뒤로 쭉 펴는 신전 등 세 가지 자세에서 각각 촬영된 환자와 정상인의 엑스레이 사진을 AI 모델에 입력한 뒤 요추협착증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학습시켰다.

 AI 모델은 세 가지 자세에서 추출된 이미지 특성을 결합·분석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진단의 정확도를 상승시켰다.

 질환 의심 부위를 탐지하지 못하거나 정상인 부분을 질환으로 오인하는 오류도 낮췄다.

 AI 모델의 요추협착증 진단 성능은 연구팀 자체 검증에서 91.4%, 외부 검증에서 79.5%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AI 모델 개발로 MRI 촬영이 어려운 환경에서 다양한 자세를 취하고 촬영한 엑스레이 사진만으로 요추협착증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엑스레이 촬영은 MRI 촬영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의료비, 짧은 촬영 시간, 이동식 촬영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환자 편의도 개선될 것으로 봤다.

 이 교수는 "해당 모델을 활용하면 MRI 없이 엑스레이 촬영만으로 요추협착증을 진단할 수 있을 것"이라며 "심하지는 않으나 지속적인 요통을 겪는 환자에게 선별검사로 활용하면 의료비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4개 보훈병원,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은 보건복지부로부터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 대상 병원에 중앙·부산·광주·대구보훈병원이 공식 지정됐다고 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의 필수 의료를 책임지는 종합병원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정부는 필수 의료 기능 강화 지원과 기능 혁신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성과지원금 등 재정적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 주요 내용은 ▲ 적정진료 ▲ 진료 효과성 강화 ▲ 지역의료 문제 해결 ▲ 진료 협력 강화의 4대 기능 혁신 추진이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이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안심하고 진료받는 여건을 조성한다. 이번 선정은 보건복지부가 구성한 평가 자문단의 심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4개 보훈병원은 ▲ 급성기병원 의료기관 인증 ▲ 지역응급의료기관 지정 ▲ 350개 이상의 수술 및 시술 항목 보유 등 모든 선정 기준을 충족해 서울, 부산, 광주, 대구 지역의 필수 의료를 담당할 종합병원으로 인정받게 됐다. 각 지역 보훈병원은 이달부터 포괄 진료 역량 강화를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 이번 지정을 계기로 지역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서 필수 의료 제공 기능 강화, 응급의료 및 중증질환 치료를 포함한 예방·재활·만성질환 관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