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 주변 야생동물·생태계에 심각한 위협 될 수 있어"

호주 연구팀 "환경에 대한 반려견 영향, 일반적 인식보다 훨씬 커"

 전 세계에서 반려동물로 가장 많이 사육되는 개가 주변 야생동물의 서식을 방해하고 직접적 피해를 주는 등 생태계와 기후 등에 심각하고 다각적인 위협을 가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 커틴대 빌 베이트먼 교수팀은 13일 국제학술지 태평양 보존 생물학(Pacific Conservation Biology)에서 그동안 간과돼 왔으나 반려견이 야생동물과 생태계, 기후에 광범위하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인간의 가장 친한 친구가 자연에는 최악의 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반려견의 포식성 행동부터 직접적 교란 행동, 주변 산책이나 놀이 등으로 인한 야생동물 방해, 반려견이 환경에 남기는 소변 같은 잔여물의 영향 등과 반려동물 사료 산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검토했다.

 베이트먼 교수는 "반려견은 목줄을 채운 상태에서도 해변 도요새를 방해하고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개는 야생동물을 쫓는 포식성 행동뿐만 아니라 냄새, 배설물 등을 남겨 야생동물 행동을 오래 방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에서는 사슴과 여우, 짧은꼬리살쾡이(bobcat) 같은 동물들이 개가 규칙적으로 나타나는 지역에서는 당장 개가 없어도 활동성이 떨어지거나 이런 지역을 완전히 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개의 배설물은 주변 수로를 오염시키고 식물 성장을 억제하며, 개를 기생충으로부터 보호하고 씻기는 데 사용되는 화학물질은 수생 환경에 독성 화합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또 세계적으로 반려견 수가 매우 많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사료 산업 역시 탄소 배출과 토지 및 수자원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이어 세계적으로 반려견 수가 급증하고 일부 보호자들의 정보 및 인식 부족, 안일한 행동 등이 더해져 더는 무시할 수 없는 환경문제가 생기고 있다고 덧붙였다.

 베이트먼 교수는 "반려견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일반적 인식보다 훨씬 크고 우려할 만한 수준"이라며 "문제를 해결하려면 환경 피해를 줄이는 것과 반려견의 긍정적 역할을 유지하는 것 사이에서 신중한 균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민감한 지역에 반려견 출입을 금지하는 것은 취약한 종 보호에 필요하지만 완전한 해결책 은 아니다"라며 "반려견 소유와 환경 보호의 균형을 맞추는 전략 개발을 위해 반려견 소유자, 환경보호 단체, 정책 입안자가 협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출처 : Pacific Conservation Biology, Bill Bateman et al., 'Bad Dog? The environmental effects of owned dogs', https://doi.org/10.1071/PC24071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약품 동물실험 대안찾기 본격화…정부, 기술개발 지원
첨단 바이오 의약품 개발 과정에서 거치는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 확보를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와 합동으로 '첨단 바이오의 약품 비임상 유효성 평가 기술 및 제품 개발 사업'을 올해부터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정부는 이날 유관 부처·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첨단 바이오 의약품 비임상 유효성 평가 기술 및 제품 개발 사업 범부처 성과 확산 협의체'를 발족했다. 정부는 이 사업을 통해서 생명윤리 논란이 커지는 동물실험을 대체할 국내 기술 개발을 지원할 방침이다. 신약 후보 물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동물에 약물을 투여해 독성과 효능을 확인하는 비임상 동물 실험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생명윤리 차원의 우려 목소리가 커지고 있고, 동물과 사람 간 생물학적 차이로 인한 실패 가능성 문제도 꾸준히 거론됐다. 정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미세 생리 시스템 구축, 검증용 원천 기술 개발, 비임상 평가 플랫폼 소재·부품·소프트웨어 및 분석 장비 국산화 등 대체 시험법에 적용할 원천 기술부터 핵심 소재·부품·장비 개발 등 전주기 기술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미세 생리 시스템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유한양행·JW중외도…'오가노이드' 활용 신약 개발 박차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동물실험을 축소하고 인공 장기 '오가노이드' 활용을 확대하는 추세다. 동물실험 대체 방안을 모색하는 글로벌 흐름에 발맞춰 이런 현상은 더 확산할 전망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유한양행은 오가노이드 기업 여러 곳을 협업 후보군으로 검토하고 있다. 동물실험 및 오가노이드 활용 병행을 추진하기 위해서다. 전임상 시험 등에 필요한 동물실험을 한꺼번에 폐지하지는 않더라도 오가노이드를 투입해 이를 단계적으로 축소하겠다는 취지다.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 또는 조직 유래 세포를 3차원으로 응집해 배양한 미니 장기 모델이다. JW중외제약은 인공지능(AI) 기반 정밀의료기업 미국 템퍼스AI와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항암 신약을 개발한다. 템퍼스AI는 실제 암 환자 종양에서 유래한 오가노이드 모델을 제공하고, JW중외제약은 이를 활용해 신약후보물질을 평가할 계획이다. 대웅은 오가노이드 대량생산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이 회사가 총괄하는 '오가노이드 재생 치료제 대량 생산 기술 개발' 과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4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 과제에 선정됐다. 이 과제를 통해 오가노이드 기술을 개발하고 오가노이드 재생 치료제 상용화까지 추진하는 게 대웅 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