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광약품 1분기 흑자전환…"당뇨병성 신경병증약 매출 호조"

실적·R&D 콘퍼런스콜…"'덱시드' 성장에 매출 39% 증가한 478억원"
"파킨슨 아침무동증 치료제, 영국서 임상 1b상 진행 중"

  부광약품의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30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매출은 478억원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39% 증가했다.

 22일 이제영 부광약품 대표이사는 1분기 실적 및 연구개발(R&D) 온라인 콘퍼런스콜을 열고 이같이 발표했다.

 이 대표이사는 "당뇨병성 신경병증 치료제 '덱시드'와 '치옥타시드'가 전년 동기 대비 약 234%의 매출 성장을 기록하며 실적 반등을 견인했다"고 말했다.

 이 대표이사는 최근 1천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한 데 대해 "2030년 '톱 20' 제약사로의 도약을 목표로 안정적인 의약품 공급 체계를 구축하고 R&D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는 공장 시설 투자에 495억원, 제조처 취득에 350억원, R&D에 300억원 등이 투입된다.

 앞서 부광약품은 생산능력 확대 등을 통해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진출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날 부광약품은 주요 R&D 파이프라인도 소개했다.

 김지헌 연구개발본부 본부장은 자회사 콘테라파마의 파킨슨 아침무동증 치료제 'CP-012'에 대해 "영국에서 순조롭게 임상 1b상이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카나반병 치료를 위한 전임상 후보물질도 선정했다고 덧붙였다. 카나반병은 뇌가 퇴화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게 되는 유전질환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