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에게 반려견은…"자녀와 가장 친한 친구 사이 어디쯤"

헝가리 연구팀 "반려견, 자녀 친밀감·친구 편안함 주는 통제 가능한 존재"

  사람들은 반려견을 진짜 가족이나 친구처럼 생각할까? 반려견에 대한 소유주의 인식을 사람-사람 관계와 비교한 결과 사람들은 반려견을 자녀와 가장 친한 친구가 합쳐진 것과 같은 독특한 존재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헝가리 외트뵈시 로란드 대학(ELTE) 에니코 쿠비니이 교수팀은 24일 과학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서 700여명의 반려견 주인에게 반려견과의 관계를 자녀, 가장 친한 친구, 연인, 가장 가까운 친척과 비교하게 한 연구에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반려견 소유자 717명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자녀, 연인, 가장 가까운 친척, 가장 친한 친구 등 4명의 인간 파트너와 반려견에 대한 13가지 관계 특성을 평가하도록 했다.

 관계 특성에는 동반자 관계(companionship), 친밀감(intimacy), 양육감(nurturance), 만족감(satisfaction), 갈등(conflict), 적대감(antagonism), 권력 관계(relative power) 등이 포함됐다.

 연구팀은 인간 관계망은 친밀감과 도움을 주는 연인, 양육감과 관계 안정성을 주는 자녀, 갈등이 적은 동반자인 가장 친한 친구 등 다양한 파트너로 구성된다며 이 연구에서 이런 인간관계를 개와 비교했다고 말했다.

사람-개 및 인간-인간 관계의 13개 관계 특성 비교

 조사에서 반려견 소유자들은 반려견과의 유대감을 가장 만족스럽게 평가하고 반려견을 최고의 동반자라고 답했으며, 반려견이 모든 파트너 중에서 자신을 가장 사랑한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견은 자녀와 마찬가지로 양육감과 관계 안정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고, 가장 친한 친구처럼 적대감이나 갈등 수준이 가장 낮은 파트너로 평가됐다.

 그러나 상대방에 대해 느끼는 힘의 불균형은 인간 파트너와의 관계에서보다 반려견과의 관계에서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견에 대해 높은 수준의 통제권을 가진다는 의미다.

 또 이 연구에서는 인간관계가 약한 사람이 이를 보완하기 위해 반려견에게 더 많이 의지할 것이라는 일반적 예상과 달리 인간관계가 강할수록 개와의 유대감도 오히려 더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쿠비니이 교수는 "인간관계와 달리 반려견 주인은 대부분 결정을 내릴 때 반려견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유지하며 이는 높은 만족감을 준다"며 "생명체에 대한 통제권을 갖는 권력 비대칭은 반려견 소유의 근본적 측면"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연구 결과는 개가 인간 사회에서 자녀와 같은 정서적 친밀감, 가장 친한 친구의 편안함, 통제에서 형성되는 관계의 예측 가능성을 제공하는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이것이 개와의 유대감이 깊은 성취감을 주는 이유"라고 말했다.

 ◆ 출처 : Scientific Reports, Enikő Kubinyi et 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dog-human and human-human relationships', http://dx.doi.org/10.1038/s41598-025-95515-8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심장 내 승모판 역류증, 성별 따라 수술 시점 달라져야"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은 노화로 인해 심장의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가는 입구에 위치한 승모판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하는 심장 판막 질환이다. 역류 현상이 지속되면 심장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데,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질환 발생 초기부터 사망 위험이 더 높아 성별에 따라 수술 시점을 달리 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김대희 교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곽순구·이승표 교수 연구팀은 2006∼2020년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으로 수술받은 환자 1천686명을 8년간 추적 관찰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현재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의 표준 치료는 판막 성형술이나 인공 판막치환술과 같은 수술이다. 수술은 좌심실에 들어온 혈액이 대동맥으로 빠져나간 비율을 뜻하는 '좌심실 박출률'을 토대로 좌심실 기능 저하 여부를 판단해 결정한다. 환자에게 뚜렷한 증상이 없더라도 좌심실 박출률이 60% 이하이면 수술을 고려하도록 권고된다. 연구팀이 성별에 따른 좌심실 기능과 사망률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남성은 좌심실 박출률이 55% 이하로 떨어졌을 때만 사망률이 유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