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의 면역회피 단백질 분해로 암세포 상당 부분 제거"

UNIST, 다양한 난치성 고형암 치료에 적용

  암세포가 면역 공격을 피하는 데 사용하는 단백질을 분해해 암세포를 상당 부분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유자형 교수팀은 암세포가 면역 회피에 쓰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복합체 조립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유 교수팀에 따르면 암세포는 'PD-L1'이라는 단백질을 정상 세포보다 많이 만들어 세포 표면에 내세운다.

 연구팀은 아세타졸아마이드를 기반으로 암세포의 PD-L1만 골라 분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아세타졸아마이드는 암세포 표면에 분포하는 CAIX 효소에 달라붙어 단백질 나노 복합체를 형성하고, PD-L1과 같은 면역 회피 단백질을 세포 안으로 같이 끌고 들어간다.

 세포 안으로 들어간 나노 복합체는 비정상 단백질로 인식돼 세포 내 청소 공장인 리소좀에서 분해된다.

 CAIX 효소는 정상 세포에는 거의 없는 단백질이기 때문에 암세포에서만 이 같은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PD-L1 단백질이 사라진 암세포는 면역 세포의 공격 대상이 된다.

 생쥐를 이용한 동물 실험에서는 실제로 이 복합체를 주입한 그룹에서 암 크기가 절반 이하로 줄었고, PD-L1 단백질도 눈에 띄게 감소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유 교수는 "기존 고분자 기반 키메라 기술의 한계를 넘는 새로운 형태의 표적 단백질 분해 기술"이라며 "향후 면역 항암제와 병용하거나 다양한 난치성 고형암 치료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3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에 실렸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이뤄졌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차세대 방사선의약품 개발 협력 연구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은 질병 진단과 치료 분야에 급성장하는 차세대 방사성의약품 개발을 위해 한국원자력의학원과 협력 연구를 한다고 6일 밝혔다. 한국원자력의학원 국가RI신약센터는 차세대 암 치료 물질로 주목받는 악티늄-225 생산 허가를 취득해 동남권원자력의학원과 공유하고 공동 연구를 추진한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은 "방사성의약품 시장은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에 따라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최근 질병의 진단과 치료 분야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방사성의약품 연구개발을 위해 두 기관의 방사성동위원소 전문가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단기적으로 기존 방사성의약품 연구와 사업을 면밀히 평가해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 중·장기적으로 신약 개발에 드는 비용과 기간을 줄여 동남권 방사선의과학단지의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사업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이창훈 동남권원자력의학원장은 "국가RI신약센터는 국내 유일의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연구기관으로서 오랜 노하우를 갖추고 있다"며 "악티늄-225 생산 허가는 우리나라 방사성의약품 신약 개발의 전환점을 마련한 성과로 긴밀히 협력해 대한민국 방사성의약품 신약 개발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