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노동자 76% "산재 발생 가장 큰 원인은 '인력 부족'"

보건의료노조 실태조사…15.6%가 최근 2년 내 업무상 사고·재해 겪어

 보건의료 노동자들은 보건의료 현장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의 주요 원인으로 인력 부족과 피로 누적 등을 꼽았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은 지난 1월 조합원 4만4천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보건의료 노동자 실태조사 중 노동안전 실태 관련 결과를 최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보건의료 노동자의 15.6%는 최근 2년 이내 업무상 사고나 재해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유형으로는 근·골격계 질환과 수면장애, 넘어짐·부딪침 등이 많았다.

 감정노동과 관련해선 응답자의 55.1%가 최근 1년 이내 폭언을 경험했다고 답했으며 폭행과 성폭력을 경험한 노동자도 각각 11.5%, 7.2%였다. 이러한 피해를 겪었을 때 다수(60∼70%)의 노동자들은 그냥 '참고 넘겼다'고 했다.

 '번아웃'(소진)을 호소하는 보건의료 노동자도 많았다.

 응답자의 68.0%가 육체적으로, 60.9%가 정신적으로 지쳐 있는 상태라고 답했다.

 '왜 일하냐고 스스로에게 물으면 월급을 받기 위해서라는 답이 나온다'는 데에 79.0%가 동의했다.

 직군별로 보면 간호직에서 육체적(75.9%), 정신적(67.8%) 소진을 호소하는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보건의료노조는 "인력 부족, 수면장애 및 피로 누적이 산재 주요 원인으로 꼽힌 것은 노동집약적이고 야간교대근무가 주요 업무 형태인 보건의료산업 현실을 고스란히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 직종별 적정인력 기준 제도화를 통한 보건의료인력 확충 ▲ 보건의료산업부터 주4일제 도입 ▲ 의사인력 확충 등을 요구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미네랄과 금식의 역설
◇ 알려지지 않은 무기질의 위험성 건강한 식생활에 꼭 필요한 요소로 비타민과 미네랄을 꼽는다. 그런데 독자 여러분은 미네랄 중에서도 먹어서는 안 되는 해로운 미네랄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우선 미네랄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하겠다. 미네랄이라고 하면 대개 미네랄워터를 떠올릴 것이다. 미네랄워터는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의 광물질이 미량 함유된 물을 뜻한다. 그렇다면 미네랄이란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의 광물질을 뜻한다. 그렇다. 미네랄은 광물, 광석, 무기물이란 뜻으로 무기질이라고도 한다. 무기물에 대해서는 과학 시간에 배웠을 것이다. 돌이나 흙을 구성하는 광물에서 얻을 수 있는 물질로, 탄소를 포함하지 않는 양분을 바로 무기물이라고 한다. 미네랄이라고 했을 때는 단순히 몸에 좋은 어떤 물질 같았는데, 그 정의를 파고들다 보니 함부로 먹어서는 안 될 것 같지 않은가? 실제로 그렇다. 우리가 흔히 섭취하는 미네랄 중에는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대표적인 예가 알루미늄이다. 음료수 캔이나 포일을 만들 때 쓰이는 은백색의 가볍고 무른 금속이다. 알루미늄 섭취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하면 대부분의 사람이 알루미늄을 왜 먹느냐고 생각할 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