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산예방 위한 자궁경부봉합술, 24주 이후 하면 조산위험 18배"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분석…"학회 기준 따라 신중하게 수술 선택해야"

 '조산 예방'을 위해 하는 자궁경부봉합수술을 임신 24주 이후에 받으면 조산율이 약 18배 증가하고 출생아 뇌성마비 위험도 19배가량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단' 소속 오수영 삼성서울병원 교수 팀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러한 내용의 임상적 가치평가 결과보고서 내용을 최근 발표했다.

 자궁경부봉합수술이란 느슨해진 자궁 입구를 묶어 주는 것으로, 자궁이 일찍 열려 태아를 싸고 있는 양막이 빠져나오는 자궁경관무력증 등의 사례에서 시행된다.

 또한 지침은 첫 번째 임신에서 자궁 경부의 길이가 짧은 경우나, 출산하더라도 태아가 생존할 수 있는 24주 이후의 경우는 수술의 적응증(치료 효과가 기대되는 병이나 증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연구원에 따르면 평균 출산 연령이 높아지고 다태아 비율이 증가해 고위험 임신이 늘어나자 국내에서 자궁경부봉합술이 조산 예방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적응증을 벗어난 수술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팀이 유산·사산·조산 경험이 없으며 첫 아이를 낳은 임신부 중 자궁경부봉합수술을 받은 289만6천271명의 2005∼2019년 건강보험 청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 지침상의 권고에 어긋나게 임신 24주 이후 수술을 받은 경우에는 수술을 받지 않은 경우에 비해 조산율이 17.9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의 뇌성마비, 자폐증,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발생 위험은 비수술군에 비해 각각 19.3배, 2.3배, 1.7배 높았다.

  또 16주 이전에 수술을 한 경우에도 조산율은 3.2배까지 증가했다.

  연구팀은 "적응증이 아닌 경우의 예방적 자궁경부봉합술은 임산부나 출생아의 예후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의료진과 임신부는 학회 권고 기준에 따라 신중하게 수술을 선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 퍼진 '자궁경부봉합술이 부작용 없이 조산을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다'는 정보는 잘못된 것이라며 의료진의 정확한 정보 제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간협 "진료지원은 전문영역…자격화하고 협회가 교육 맡아야"
대한간호협회(간협)는 19일 "정부가 추진 중인 진료지원 간호사 업무에 관한 규칙은 간호사의 전문성과 현실을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며 "교육·자격 체계를 개선하라"고 촉구했다. 간협은 이날 서울 중구 협회 서울연수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6월 21일 간호법 시행을 앞두고 정부가 마련 중인 '진료지원 업무 수행 규칙안'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진료지원 인력은 보건복지부 장관이 인정하는 별도의 자격을 보유한 전문간호사와, 그간 임상 현장에서 'PA(Physician Assistant) 간호사'로 불리며 의사 업무 일부를 대신 수행한 인력을 말한다. 진료지원 업무는 의료법상 별도 규정이 없는 탓에 사실상 '불법'으로 간주됐으나 간호법 시행으로 법적 보호를 받게 됐다. 간협은 나아가 협회가 진료지원 업무 교육의 주체가 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간협은 "정부는 진료지원업무 교육을 의료기관 등에 맡기려고 한다"며 "이는 의사 부족을 이유로 간호사에게 업무를 떠넘긴 현실을 방치한 채 교육마저 현장에 전가하려는 제도적 착취"라고 주장했다. 이어 "간협은 간호연수교육원을 통해 전문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고, 보수교육기관 평가와 자격시험 관리 등의 역량을 갖추고 있다"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신생아의 빠른 심박도 재현 가능한 심혈관 모사 장치 개발
신생아의 빠르게 뛰는 심장박동까지 재현할 수 있는 심혈관 모사 장치가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경희대 박윤석 교수 연구팀이 인간의 대동맥 판막 구조를 모사한 소프트 심장 밸브와 고정밀 심혈관 시뮬레이터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심혈관 질환은 전 세계 사망원인 1위 질환으로,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을 위해 인체의 혈압과 맥압 변화를 인공적으로 구현한 심혈관 시뮬레이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만 기존 기계식 밸브나 유압 펌프 방식의 심혈관 시뮬레이터는 부피가 크고 정밀 제어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신생아나 소아의 빠른 심박수와 고강도 운동 중 발생하는 부정맥 등 병리적 상태까지 구현하기 위해서는 응답 속도와 정밀도가 높은 밸브 시스템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사람의 대동맥 판막 구조를 본뜬 소프트 자성 밸브와 자성 심장판막을 핵심기술로 하는 심혈관 시뮬레이터를 개발했다. 3개의 판막엽으로 구성된 심장 대동맥 판막은 수축·이완기 심장 박동에 따라 혈액을 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데, 이 3엽 구조를 닮은 자성 심장판막과 소프트 자성 밸브가 외부 자기장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 마치 대동맥 판막처럼 자연스레 열리고 닫히게 된다. 유연성과 복원력이 우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