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뇌졸중 뇌출혈[연합]</strong>](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520/art_17473877833631_3834db.jpg)
지난 10여 년 사이 뇌졸중에 대한 국민의 인식 수준이 향상됐으나 위험요인 등에 대한 심층적 이해도는 오히려 낮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신경과 정근화 교수와 이응준 공공임상교수 연구팀은 한국갤럽에 의뢰해 2009년과 2023년에 각각 성인 1천 명, 1천12명을 대상으로 뇌졸중 인식 수준을 조사한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부분 마비, 언어 장애, 의식 저하, 어지럼증 등 뇌졸중 경고 증상을 하나 이상 알고 있다는 응답자는 2009년 61.5%에서 2023년 77.4%로 늘었다.
뇌졸중 위험인자에 대한 질문에서 고혈압, 과음, 흡연, 고지혈증, 비만, 당뇨, 가족력 등 가운데 한 개 이상을 답한 응답자도 2009년 56.1%에서 2023년 62.8%로 증가했다.
다만 위험인자를 2개 이상 맞힌 응답자는 2009년 조사 당시 51.4%에서 2023년 40.2%로 10%포인트 이상 줄었다.
뇌졸중 치료 방법인 정맥 내 혈전용해술 인지도는 같은 기간 30.4%에서 55.6%로 늘고, 뇌졸중 증상 발생 시 적절한 대응법으로 119 신고를 택한 비율도 32.5%에서 48.9%로 높아졌다.
정맥 내 혈전용해술은 물론 경고 증상에 대해 잘 알수록 119 신고 확률이 높았다.
건강정보 습득 경로를 보면 TV를 통한 습득 비율은 59.1%에서 48.5%로 준 반면 인터넷(27.8→63.0%)과 유튜브(0→19.9%)를 통해 얻는다는 사람은 크게 늘었다.
정근화 교수는 "뇌졸중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향상됐으나 정보의 깊이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특히 젊은 층과 기존에 혈관 위험 요인이 없는 집단에서 '나와 관계없는 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연령, 건강행태, 기저질환 유무에 따른 차별화된 교육 전략과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기반 교육 콘텐츠 개발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대한뇌졸중학회,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으며, 미국 심장협회지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