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로미어 짧으면 뇌질환 위험↑…예방책은 건강한 생활습관"

美 연구팀 "생물학적 노화 징후 있어도 건강 생활습관이 뇌질환 위험 낮춰"

노화 생체지표인 텔로미어(telomere)가 짧아지면 뇌졸중·치매·노년기 우울증 같은 노화 관련 뇌질환 위험이 커지지만,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면 이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 의대 크리스토퍼 앤더슨 교수팀은 12일 미국신경학회(AAN) 저널 신경학(Neurology)에서 영국인 35만여명의 건강 데이터를 분석, 백혈구 텔로미어 길이(LTL) 및 생활습관, 뇌질환 위험 사이에서 이런 연관성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앤더슨 교수는 "이 결과는 이미 생물학적 노화 징후를 보이는 사람도 건강 체중 유지, 음주 제한, 충분한 수면과 운동 등 건강한 생활습관을 통해 뇌질환 위험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나이가 들면 뇌졸중, 치매, 노년기 우울증 같은 뇌질환 위험이 증가한다. 또 세포 내 염색체 끝에서 보호 캡 역할을 하는 텔로미어는 나이가 들거나 스트레스, 오염 등 부정적 환경에 노출되면 점차 짧아지고 DNA 손상 위험이 커진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노화 관련 뇌질환과 백혈구 텔로미어 길이 사이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 참가자 35만6천173명(평균 연령 56세)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들을 백혈구 텔로미어 길이에 따라 짧은 그룹, 중간 그룹, 긴 그룹으로 나누고, 혈압, 혈당 수치, 콜레스테롤, 생활습관 등 뇌 질환 위험 요인을 평가하는 맥캔스 뇌 건강 점수(BCS)에 따라 뇌 건강이 좋은 그룹과 나쁜 그룹으로 나눈 다음, 7년간 3개 뇌 질환의 발생을 추적 관찰했다.

추적 관찰 기간에 3개 뇌질환 중 하나라도 발병한 사람은 2만5천964명이었다.

발병률은 텔로미어 길이가 짧은 그룹의 경우 1천 인년당(1인년은 한 사람을 1년간 관찰한 값) 5.82건이었고, 텔로미어가 긴 그룹은 1천 인년당 3.92건이었다.

연구팀은 짧은 텔로미어와 노년기 뇌질환 사이에 명확한 연관성이 발견됐다며 나이, 고혈압, 흡연 같은 위험 요인을 고려했을 때 텔로미어가 짧은 그룹은 긴 그룹보다 세 가지 뇌질환 중 하나 이상 발병할 위험이 11% 높았다고 설명했다.

치매 위험은 텔로미어가 짧은 그룹이 긴 그룹보다 19% 높았고, 노년기 우울증과 뇌졸중 위험은 각각 14%와 8% 높았다.

하지만 생활습관 요인 등이 포함된 뇌 건강 점수(BCS)를 반영하면 위험도가 크게 달라졌다. 텔로미어가 짧은 그룹 내에서 BCS가 높은 사람은 뇌졸중과 치매, 우울증 위험이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고 콜레스테롤과 혈압을 낮게 유지하는 등 건강한 생활습관을 지닌 사람들에게서는 짧은 텔로미어 길이가 3개 뇌 질환 위험으로 이어지는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논문 제1 저자인 타마라 킴벌 박사는 "이 결과는 과체중, 음주 같은 위험 요인을 줄이고 충분한 수면과 운동을 하는 것이 이미 생물학적 노화 징후를 보이는 사람들에게도 뇌질환 위험을 되돌리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뇌 건강 돌보기를 시작하기에 너무 늦은 때는 없다"고 말했다.

 

장익상 선임기자(iksang.jang@gmail.com)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보건의료노조, 24일 총파업 철회…"공공의료 강화 등 노정 협력"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이 정부와의 실무 협의를 거쳐 24일로 예고했던 총파업 계획을 철회했다. 21일 보건복지부와 보건의료노조에 따르면 양측은 지난 17일부터 공공의료 강화, 의료인력 확충 등 보건의료 주요 현안에 대해 실무 협의를 진행했다. 노조는 협의 내용을 바탕으로 임시대의원회의를 열어 논의한 끝에 산별 총파업을 철회하고, 사업장별 임금·단체협약 교섭 타결에 집중하기로 했다. 앞서 보건의료노조는 올해 임단협 타결에 실패한 전국 127개 의료기관에 대해 지난 8일 동시에 쟁의조정을 신청했으며, 사업장별 쟁의 행위 찬반투표에서 92.1%의 찬성률도 총파업을 가결한 바 있다. 복지부와 노조는 이번 실무 협의를 통해 '9·2 노정합의'가 새 정부의 정책방향과 부합된다는 점을 확인하며 직종별 인력기준 마련 및 제도화 등 미이행 과제의 이행을 위한 협의를 지속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9·2 노정합의는 2021년 9월 정부와 보건의료노조가 감염병 대응체계 구축,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 보건의료인력 처우 개선 등에서 이룬 합의를 가리킨다. 보건의료노조는 이 합의가 윤석열 정부 시절 중단됐다며 이행체제 복원을 요구해왔다. 아울러 정부와 노조는 공공의료 강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세 부모 아기' 8명 건강히 성장중…희소유전질환 퇴치 청신호
중증 희소질환의 모계 유전을 차단하는 의학적 시술로 영국에서 아기 여러 명이 태어나 건강하게 성장하고 있다는 사실이 의학지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JM)을 통해 고됐다. NEJM는 최근 뉴캐슬대 등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 2편과 학술지 자체 사설 1편을 게재해 영국에서 '미토콘드리아 기증 시술'(MDT) 혹은 '미토콘드리아 치환술'(MRT)로 불리는 의학 시술로 남아 4명과 여아 4명이 출생한 사례를 보고했다. MDT는 미토콘드리아 변이에 따른 질환을 차단하기 위한 의학적 시술로, 체외수정(IVF)과 결합해서 시술된다. 세포 내 기관인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세포핵 안이 아니라 그 바깥에 있는 세포질에 위치하고 있다. 세포핵뿐만 아니라 미토콘드리아에도 자체적 유전자가 있다. 다만 세포핵 유전자는 아이가 부모 양측으로부터 각각 절반씩 물려받는 것과 달리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는 어머니로부터만 물려받는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에 변이가 생기면 세포의 에너지 활용에 문제가 생겨 어릴 때부터 뇌, 심장, 근육 등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심각한 질환이 생길 수 있다. 영국의 경우 이런 질환에 시달리는 인구가 약 5천명에 1명 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