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코스닥 진입 활성화…"상장규제 개선 필요"

GC지놈 등 기술특례 상장…"법차손 규정 개정 동반돼야"

  제약·바이오 기업이 잇달아 코스닥 시장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연구개발(R&D) 자금을 확보하는 동시에 기업 가치를 높여 업계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제약·바이오 기업 최소 3곳이 코스닥 시장에 상장됐다.

 이번 주에는 임상 유전체 전문기업 GC지놈이 코스닥에 진입했다.

 이 회사는 2013년 GC녹십자 자회사로 설립돼 300종 이상의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900개 이상 병의원에 제공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줄기세포를 3차원 배양해 인체 장기를 재현하는 오가노이드사이언스와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 기업 인투셀이 코스닥 시장에 입성했다.

 인투셀의 경우 코스닥 상장 첫날 주가가 공모가의 2배의 근접한 수준에서 장을 마치기도 했다.

하반기 코스닥 상장이 예정된 기업도 적지 않다.

 리보핵산(RNA) 기반 유전자치료제 개발기업 알지노믹스는 올해 하반기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할 계획이다.

 식물 세포 기반 바이오 소재 전문기업 지에프씨생명과학도 코스닥 상장을 앞두고 있다. 

 이 회사는 천연 바이오 소재 생산부터 테스트까지 원스톱 설루션을 제공한다.

 의료 인공지능(AI) 기업도 코스닥 입성에 주력하고 있다.

 뇌 질환 진단·치료 AI 전문기업 뉴로핏은 한국거래소로부터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 승인을 받았다.

 현재 상장된 의료 AI 기업은 루닛, 제이엘케이, 뷰노, 코어라인소프트 등이다.

 우리나라 제약·바이오 기업은 기술특례 상장 제도를 통해 코스닥 시장에 진입하는 경우가 많다.

 기술특례 상장 제도는 우수한 기술력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이 상장할 수 있도록 상장 기준을 낮춰주는 제도로 2005년 도입됐다.

 기업이 보유한 기술이 유망하다고 판단될 경우 재무제표상 적자라도 상장 기회가 제공된다.

 GC지놈도 기술특례 상장으로 코스닥에 입성했다. 알테오젠의 경우 2005∼2024년 기술특례로 상장한 기업 248곳 가운데 시가총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기업이라고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집계했다.

 다만 신약 개발까지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한 업계 특성상 상장폐지되는 바이오 기업도 적지 않다.

 올해는 파킨슨병 치료제 등 신약 개발을 추진하던 셀리버리에 이어 이중항체 개발사 파멥신 등의 상장폐지가 결정됐다.

 업계 관계자는 "제약·바이오 기업의 코스닥 상장 활성화는 업계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긍정적인 현상"이라면서도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법차손) 등 상장규제 개선을 비롯한 규제 해소가 동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단 한 번의 실험으로 약물 저해 효과 예측…"6만편 논문 뒤집어"
한국과학기술원(KAIST) 수리과학과 김재경 교수와 충남대 약대 김상겸 교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의생명수학그룹 공동 연구팀은 단 한 번의 실험으로 효소 저해 상수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했다고 16일 밝혔다. 효소 저해 상수는 신약 개발 시 효소와 약물, 약물과 약물 간 상호작용을 예측하는 지표이다. 약물을 병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상호작용을 분석해 약물 저해 효과를 예측하기 위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수많은 농도 조건에서 반복 실험을 거쳐 저해 상수를 추정하는데, 지금까지 6만편의 논문에 활용될 만큼 이 방법이 널리 쓰였다. 그러나 동일한 기질과 저해제의 조합에도 연구마다 추정치가 10배 이상 차이가 나는 사례가 보고됐다. 연구팀은 저해 상수 추정 과정을 수학적으로 분석해 데이터의 절반 이상이 실제 추정에 불필요하거나, 오히려 왜곡을 초래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수학적 모델링과 오차 지형(각 매개변수 조합에서 오차가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주는 지형도) 분석을 통해 단 하나의 농도만으로도 저해 상수를 추정할 수 있는 분석법을 제시했다. 저해제 농도를 다양하게 사용하는 기존 방식보다, 충분히 높은 저해제 농도 하나에서 추정한 결과가 더 정확하고 효율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