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인 심폐소생술 실행률 30% 넘어서…급성심정지 생존율 상승

작년 상반기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심폐소생술 시행시 생존율 2.2배

 일반인들이 심폐소생술을 하는 비율이 점차 올라 처음으로 30%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현장에서 곧바로 심폐소생술을 했을 때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그렇지 않은 경우의 2.2배에 달했다.

 질병관리청은 2024년 상반기 급성심장정지 사례 1만6천782건 중 1만6천578건(98.8%)에 대한 조사를 마치고 그 결과를 20일 공개했다.

[질병관리청 제공]

 심근경색, 부정맥, 뇌졸중 등 질병에 따른 급성심장정지가 전체의 77.8%를 차지했다. 추락이나 운수 사고 등 질병 외 원인에 따른 경우는 21.8%였다.

 급성심장정지는 주로 비(非) 공공장소(64.0%)에서 발생했다. 특히 가정(45.1%)에서의 발생이 전체의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도로나 상업시설 등 공공시설에서의 발생은 17.8%였다.

[질병관리청 제공]

 이 기간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9.2%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 올랐다.

 생존율은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2019년 8.7%에서 2021년 7.3%로 내렸으나 이후 상승세를 탔다.

 발생 원인별로 따지면 질병에 따른 급성심장정지 생존율이 10.6%였고, 질병 외의 경우 4.5%에 그쳤다.

 혼자서 일상생활을 할 정도로 뇌기능을 되찾는 뇌기능회복률도 2023년 상반기 5.6%에서 지난해 상반기 6.4%로 상승했다.

 작년 상반기 구급대원이나 의료인을 제외한 일반인들의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30.2%로, 이 항목이 조사된 이래 처음으로 30%대에 진입했다.

 지역별로 보면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서울이 48.5%로 가장 높았고, 부산이 11.6%로 최저를 기록했다.

[질병관리청 제공]

 목격자 등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한 경우 환자의 생존율은 14.3%, 뇌기능회복률은 11.4%였다.   이는 그렇지 않았을 때보다 중 각각 2.2배, 3.2배 높은 수준이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과 뇌기능회복률이 상승하는 것은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행과 연관된 고무적인 결과"라며 "현장 목격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므로 일반인 심폐소생술이 더욱 확대되도록 교육자료 개발 등 다양한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질병청은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을 개정하고 있고, 2025년 한국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과 2024년 전체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를 오는 12월 중 발표할 계획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젊은 암 늘자 '가임력 보존' 관심…"출산 계획 환자부터 지원"
젊은 암 환자가 많아지면서 '가임력 보존'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환자와 의사 대부분이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정부 지원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 계획이 있는 암 치료 대상자부터 지원해야 한다는 데에도 환자와 의사 사이에 이견이 없었다. 대한가임력보존학회가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수행한 '가임력 보존 및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11~12월 가임기 여성 환자와 이들을 진료하는 의사를 대상으로 각각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러한 사실이 확인됐다. 최근 의료계에서는 암 발병 연령이 낮아진 데 따라 젊은 암 환자의 완치 이후의 삶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2년에 암을 새롭게 진단받은 20∼39세 환자는 1만9천575명에 달한다. 특히 가임력 보존은 저출생 시대 젊은 유방암 환자 등이 증가한 데 따라 관심이 커지는 분야로 꼽힌다. 학회는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등 병원 7곳에서 외래 진료를 받은 여성 환자 153명을 대상으로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해 조사했다. 이들 중 유방암 등을 진단받고 가임력 보존 시술을 받은 환자는 53명이었다. 우선 응답자의 83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