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국제연구팀 "거부반응 예방 시점 확인…이종 간 이식 거부 극복 중대 진전"

 인체에 이식된 돼지 신장 조직에 대한 인간 면역계의 거부반응 연구에서 이식 후 10일째부터 신장 조직에서 인간 면역세포를 통해 거부반응이 확인되기 시작해 33일째 정점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발랑탱 구토디에 박사가 이끄는 프랑스 파리 장기이식 및 장기재생연구소와 미국 뉴욕대 랭곤 이식연구소 연구팀은 지난달 30일 영국 런던에서 열린 유럽장이식학회 학술대회(ESOT Congress 2025)에서 공간 분자 영상 기술로 인간 면역세포와 돼지 신장 조직의 상호작용을 관찰,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가장 주목할 만한 발견 중 하나는 이식 후 돼지 신장의 여과 시스템 전반에 걸쳐 인간 면역 세포가 발견됐다는 점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인간 면역세포에 의한 항체 매개 거부반응(antibody-mediated rejection)의 초기 분자적 징후는 신장 이식 10일째부터 나타나기 시작해 33일째 정점에 달했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거부 반응이 빠르게 시작되지만, 시간이 흐르며 점진적으로 진행된다는 기존 연구 결과를 뒷받침한다며 61일간 면역 반응을 추적해 거부 반응 최소화를 위한 표적 치료가 가능한 시점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생물정보학 기법으로 돼지 신장 세포에 침투한 인간 면역 세포를 추적, 대식세포(macrophage)와 골수계 세포(myeloid cell)가 이종이식 거부 반응의 핵심 매개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구토디에 박사는 "이 연구는 인간 면역계가 이식된 돼지 신장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가장 정밀하게 분자 수준에서 지도화한 것"이라며 "특정 면역세포의 행동과 유전자 발현을 정확히 찾아냄으로써 거부 반응 억제를 위한 정교한 치료법을 통해 이식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 또 이 실험에서 거부 반응 발생 시기에 맞춰 표적 치료를 한 결과 면역 매개 거부 반응 징후가 성공적으로 약화됐다며 이는 향후 더욱 정교한 거부 반응 억제 전략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연구는 특히 이종 간 장기 이식이 전 세계적인 장기 부족 위기를 해결할 대안으로 주목받고, 특히 유전자 조작 돼지 신장이 장기적이고 실현 가능한 이식용 신장 공급원으로 떠오르는 가운데 이루어져 관심을 끌고 있다.

 구토디에 박사는 "분자 수준에서 면역계의 구체적인 상호작용을 이해하면 거부반응 본격화 전에 이를 예방할 수 있는 표적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는 향후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돼지-인간 장기 이식을 가능케 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출처 : ESOT Congress 2025, Goutaudier V. et al., 'Application of a Novel Spatial Transcriptomic 6000-Plex Panel in Pig-to-Human Xenotransplantation'.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장내 미생물 이용해 악성 뇌종양 면역치료 효과 높인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장내 미생물과 그 대사산물을 이용해 면역항암제가 듣지 않는 교모세포종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 냈다고 6일 밝혔다. 교모세포종은 가장 공격적이고 예후가 나쁜 대표적 악성 뇌종양이다.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면역항암제가 최근들어 주목받고 있지만,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교모세포종에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다. 생명과학과 이흥규 교수 연구팀은 장내 미생물 생태계의 변화에 주목해 교모세포종의 면역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교모세포종이 진행되면서 장내 중요한 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의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며, 이는 곧 장내 미생물 생태계 변화로 이어진다는 점을 확인했다. 트립토판을 보충해 장내 미생물 다양성을 회복시키면, 숙주에게 이로운 유익균인 '던카니엘라 두보시'(Duncaniella dubosii)가 면역세포인 'CD8 T세포'(암세포를 공격해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면역세포)를 활성화하는 역할을 하며, CD8 T세포를 종양 조직으로 유도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실제 교모세포종을 유발한 생쥐 모델에 트립토판을 보충한 결과, 두보시 균주가 CD8 T세포가

메디칼산업

더보기
신약 대신 제네릭(복제약) 난립…리베이트 부추긴다
제약업계 고질병으로 여겨지는 불법 리베이트가 올해도 잇따라 적발되고 있다. 업계는 리베이트 근절 필요성에 동감하면서도 정부가 신약 개발 지원책을 마련해 제네릭(복제약) 공급 과잉 등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계속되는 불법 리베이트…추가 적발 가능성도 올해 제약업계는 반복되는 불법 리베이트 적발로 몸살을 앓고 있다. 최근 검찰은 3개 중견 제약사와 소속 직원들을 이른바 '전공의 리베이트 사건' 관련 혐의로 기소했다. 병의원 380여 곳을 대상으로 한 대웅제약 영업직원들의 리베이트 영업 의혹에 대한 재수사 결정도 내렸다. 고려제약 불법 리베이트 수사도 본격 진행됐다. 이 회사 제품을 처방해주는 대가로 불법 리베이트를 수수한 의사 319명, 제약회사 임직원 21명 등 340명이 검거됐고 기 가운데 의사, 병원 관계자 등 2명이 구속됐다. JW중외제약은 리베이트 비용을 복리후생비 등 명목으로 속여 법인세를 포탈한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신영섭 대표이사는 지난달 열린 첫 공판에서 혐의를 모두 부인했다. 그 외 경보제약, 안국약품 등도 불법 리베이트 등을 이유로 과징금을 부여받았다. 앞으로 리베이트 업체가 추가 적발될 가능성도 크다. 경찰청 국가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