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후반기까지 뇌 해마에서 새 신경세포 계속 생성된다"

스웨덴 연구팀 "0~78세 뇌 해마 분석…다양한 발달 단계 신경세포 확인"

 성인이 된 후에는 뇌에서 신경세포(neuron)가 새로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기존 이론과 달리 성인 후반기까지 기억 중추인 해마(Hippocampus)에서 신경세포가 계속 생성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새로운 증거가 발견됐다.

 스웨덴 카롤린스카의대 요나스 프리센 교수팀은 5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서 국제 바이오뱅크에서 확보한 0~78세 사람들의 뇌 조직을 분석, 해마에서 줄기세포부터 미성숙 뉴런에 이르는 다양한 발달 단계의 신경세포를 확인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나 1990년대부터 해마에서 성인이 된 후에도 신경세포가 생성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돼 왔다.

 프리센 교수팀도 2013년 뇌 조직의 DNA에서 방사성 동위원소 탄소-14를 측정해 세포 형성 시기를 판별하는 방법으로 성인의 해마에서 새 뉴런이 형성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은 바 있다.

 연구팀은 신경발생(neurogenesis), 즉 새로운 뉴런이 얼마나 형성되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여전히 논쟁이 되고 있다며 지금까지는 신경세포 형성의 명확한 증거인 신경 전구세포(neural progenitor cells)가 성인에게도 실제로 존재하는지, 그리고 분열하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국제 바이오뱅크로부터 0~78세 사람들의 뇌 조직을 확보, 단일 핵 RNA 시퀀싱(single-nucleus RNA sequencing) 기법으로 각 세포핵 안의 유전자 활성을 분석하고 유세포 분석법 (flow cytometry)으로 세포 특성을 조사했다.

 이어 이 데이터를 기계학습(machine learning)과 결합해 분석한 결과, 성인의 뇌에서 줄기세포에서 미성숙 뉴런에 이르는 다양한 발달 단계의 신경세포들이 확인됐으며 이들 세포 중 다수는 분열 단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조직에서 다양한 유전자가 활성화되는 위치를 보여주는 기술을 이용해 새로 신경세포가 만들어지는 위치를 조사한 결과 해마에서 기억 형성, 학습·인지적 유연성에 중요한 영역인 '치아이랑(dentate gyrus)인 것으로 확인됐다.

 프리센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성인의 뇌 해마에서 새로운 신경세포가 계속 형성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주는 신경 전구세포 같은 뉴런의 전 단계 세포들을 확인하는 게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연구는 인간의 뇌가 어떻게 작동하고 평생 어떻게 변하는지 이해하는 데 중요한 퍼즐 조각을 제공한다"며 또한 이는 신경퇴행성 질환이나 정신질환 치료를 위한 재생치료법 개발에 대해서는 시사하는 의미가 크다고 덧붙였다.

 ◆ 출처 : Science, Jonas Frisén et al., 'Identification of proliferating neural progenitors in the adult human hippocampus', www.science.org/doi/10.1126/science.adu9575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석수선의 K-디자인 이야기…'K-의료' 관광이 연 감정산업
의료관광은 더 이상 진료나 시술 중심의 산업만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과 감성 콘텐츠 소비가 일상이 된 오늘날 병원을 찾는 많은 사람은 치료만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위로받고 싶어 하고, 감정적으로 연결되고 싶어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은 K-팝, K-드라마, K-뷰티 같은 한류 콘텐츠를 매개로 문화적 친숙함과 감정적 몰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강점을 지닌다. 빠르고 효율적인 병원 진료만이 아닌 감정 회복의 여정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는 결정적 가능성이다. 오늘날의 환자는 진료의 전문성보다도 그 과정을 어떻게 '느끼는가'를 중심에 둔다. 진료 전 대기 시간의 불안, 치료 중의 고통, 회복기의 고립 등이 극복 요소다. 이 모든 순간에 정보보다 감정의 흐름이 더 크게 작용한다.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환자는 스스로 치유하고 있다는 감각을 원한다. 특히 방한한 외국인 환자에게 한국은 시술받는 장소만이 아니라, 자신이 동경해온 문화가 살아 있는 '감정 공간'이다. K-콘텐츠를 통해 한국에 친숙해진 이들은 병원 침대가 아닌, 드라마 속 장면과 닮은 회복 공간에서 자신만의 치유 서사를 경험하길 원한다. 여기에 디자인 요소도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운동하는 학생 남 25%·여 9%…"학교밖 자원 연계해야 운동량↑"
우리나라 학생들의 신체활동 실천율이 저조한 수준에 머무는 가운데 운동량을 늘리려면 학교 밖의 자원까지 연계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수경 부연구위원은 9일 '학교 기반의 아동·청소년 신체활동 활성화를 위한 과제'에서 학생·학부모·이해관계자 등과 면담해 이런 결론을 냈다. 지난해 질병관리청의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통계를 보면 대표적인 신체활동 지표인 '하루 60분 주 5일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남학생 25.1%, 여학생 8.9%에 그쳤다. 2022년 같은 조사에서 학생들은 운동이나 신체활동을 하는 주된 이유로 '재미있어서'(33.3%)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건강을 위해'(20.6%), '체중 감량을 위해'(16.4%) 등의 순이었다. 김 연구위원은 "신체활동은 학생들의 전반적 생활양식과 관련된 문제여서 체육 교과와 스포츠 활동 활성화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학교 체육만 활성화되면 학생들의 신체활동, 건강 수준 저하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식의 정책은 학생 건강을 교육 당국만의 소관이라고 인식되도록 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학교 내 공간·시설·인력 부족과 운동에 대한 흥미 유발 전략 부족을 문제점으로 꼽으면서 "학교 안팎의 다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