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64세 절반 연금소득 '제로'…65세 이상은 생계비 절반 수준

'소득절벽' 60~64세 연금 수급률 42.7%…월평균 100만4천원
65세 이상 월연금 70만원 수령…통계청 2023년 연금통계

  2023년 기준으로 65세 이상 전체 연금 수급자의 월평균 연금액은 약 70만원에 근접했지만, 여전히 1인 최저생계비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정년퇴직으로 소득이 끊겼지만 국민연금 수령이 아직 시작되지 않은 일명 '소득 크레바스'(소득공백) 구간인 60∼64세 연령대에서는 절반 이상이 연금소득이 전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25일 이런 내용의 '2023년 연금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기초·국민·직역(공무원·군인·사학·별정우체국)·주택연금 등 11종의 공·사적 연금 데이터를 연계·분석한 결과다.

 2023년 기초연금·국민연금·직역연금 등 연금을 1개 이상 수급한 65세 이상 인구는 863만6천명으로 연금 수급률은 90.9%였다.

 이는 전년 대비 0.5%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연금 수급률은 2016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2개 이상 연금을 동시에 수급한 비율은 37.7%, 월평균 연금 수급액은 69만5천원으로 집계됐다.

 수급액은 전년(65만원) 대비 6.9% 올랐지만, 같은 해 1인 가구 최저생계비(124만6천735원)의 절반 수준이다.

 연금 수급액은 25만∼50만원대가 50.9%로 가장 많았고, 50만∼100만원(31.1%), 100만∼200만원(8.2%), 200만원 이상(5.9%), 25만원 미만(4.0%) 등 순이었다.

 연금종류별로 살펴보면 기초연금 수급자가 646만1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국민연금 수급자는 476만명으로 집계됐다.

 월평균 수급액은 기초연금이 29만2천원, 국민연금이 45만2천원으로 나타났다.

 등록취업자는 월평균 77만9천원, 미등록자는 65만7천원의 연금을 받았다. 수급률은 각각 93.1%, 90.0%였다.

 특히 등록취업자 중 연금수급자는 267만4천명으로, 2016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령층이 연금만으로는 생계를 꾸리기 어려운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주택을 소유한 수급자의 수급액은 87만3천원, 무주택 수급자는 54만5천원이었다. 수급률은 각각 91.6%, 90.4%로 집계됐다.

 성별로는 남자(90만1천원)가 여자(51만7천원)보다 2배 가까이 많이 받았다.

 남성은 국민연금, 여성은 기초연금 수급률이 높은 편인데, 국민연금은 가입 기간과 물가상승률에 모두 영향을 받는 반면, 기초연금은 물가상승률만 반영돼 격차가 발생한다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청장년층인 18∼59세 연금 가입률은 81.0%로, 전년(80.2%)보다 상승했고, 2개 이상 중복 가입률은 33.1%로 전년(33.0%)보다 소폭 증가했다.

 월평균 보험료는 34만4천원으로 전년(33만5천원)보다 2.9% 증가했다.

 청장년층인 18∼59세 등록 취업자의 연금 가입률은 95.1%로, 월평균 39만4천원의 보험료를 냈다.

 반면 미등록자의 연금 가입률은 52.5%에 그쳤다. 이들이 낸 월평균 보험료는 16만1천원이었다.

18∼59세 주택 소유자의 연금 가입률은 91.8%, 월평균 보험료는 45만3천원이었다. 주택 미소유자의 가입률은 76.4%, 월평균 보험료는 28만9천원으로 나타났다.

 가구로 보면 65세 이상 연금 수급자가 1명 이상 있는 가구(연금 수급가구)는 651만4천가구다. 수급률은 95.8%, 월평균 89만8천원을 받는다.

 65세 이상 인구가 속한 가구 중에서 연금 수급자가 없는 가구(연금 미수급가구)는 28만9천가구로 조사됐다.

 1인 가구 중에 연금을 받는 가구는 201만2천가구다. 월평균 62만1천만원이다.

 ◇ 60∼64세 연금 가입률 41.2%…월평균 보험료 37만3천원

 통계청은 이번 통계에서 '소득 크레바스' 위험이 높은 60∼64세 연령대를 조사 세부구간으로 별도 분석했다.

 이 연령대는 퇴직으로 근로소득이 끊기지만,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 수급 개시 연령에는 도달하지 못한 이들이 포함돼있다.

 2023년 연금을 1개 이상 수급한 60∼64세 인구는 177만3천명으로, 연금 수급률은 42.7%였다.

월평균 연금 수급액은 100만4천원이었다.

 2023년 기준, 국민연금 노령연금 수급 개시 연령인 63세를 기준으로 구분해 보면 60∼62세의 수급률은 24.8%, 63∼64세는 69.9%로 차이가 컸다.

 수급 금액의 비중은 25만∼50만원대(29.8%)로 가장 많았고, 50만∼100만원(29.4%), 100만∼200만원(15.9%), 200만원 이상(13.2%), 25만원 미만(11.8%) 등 순이었다.

 국민연금 및 개인연금 수급자는 각각 138만4천명(78.1%), 32만1천명(18.1%)였다.

 연금별 월평균 수급금액은 국민연금이 66만7천원, 개인연금이 53만7천원으로 조사됐다.

 등록취업자는 월평균 97만2천원, 미등록자는 104만7천원의 연금을 받았다. 수급률은 각각 45.3%, 39.7%였다.

 주택소유자의 수급액은 115만8천, 무주택자는 80만1천원이었다. 수급률은 각각 51.5%, 35.0%였다.

 60∼64세 연금 가입률은 41.2%로, 월평균 보험료는 37만3천원이었다.

 이또한 60∼62세 가입률은 50.9%, 63∼64세는 26.6%였다.

 보험료 비중은 10만원 미만(53.5%)대가 가장 많았고, 10만∼25만원(24.5%), 25만∼50만원(13.5%) 등 순이었다.

 등록취업자의 연금 가입률은 52.7%, 미등록자는 27.5%에 그쳤다. 월평균 보험료는 각각 41만5천원, 30만2천원이었다.

 주택소유자의 경우에는 48.0%가 연금에 가입했으나 무주택자는 35.3%였다. 월평균 보험료는 각각 44만2천원, 29만3천원이었다.

 최재혁 행정통계과장은 "현재 연금제도의 정착이 어느 정도 돼서 차곡차곡 쌓여 숙성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국의료 '복합위기' 직면…국책연구기관, 시스템 붕괴 경고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가 의사 인력의 불균형, 왜곡된 의료 전달체계, 불공정한 보상 구조라는 삼중고에 직면했으며, 이대로 방치할 경우 필수의료와 지역의료 시스템 붕괴라는 연쇄적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종합 진단이 나왔다. 국책연구기관은 이에 대한 해법으로 기존의 공급자 중심 정책에서 벗어나,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24시간 의료 길잡이' 서비스 도입과 같은 구체적인 미래상을 제시하며 패러다임 전환을 촉구했다. 26일 보건복지부 의뢰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공개한 '국민중심 의료개혁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한국 보건의료는 개별적 문제가 아닌 여러 위기가 중첩된 '복합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 보고서가 지적한 위기의 핵심은 의료인력의 극심한 불균형이다. 2024년 상반기 레지던트 1년차 충원율을 보면, 소아청소년과는 26.2%, 심장혈관흉부외과는 38.1%라는 처참한 성적표를 받았다. 반면 피부과, 안과, 성형외과 등 소위 '인기 과목'은 100% 충원율을 기록하며 의사 인력이 국민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 분야를 외면하는 현실을 그대로 드러냈다. 지역 간 의료 격차는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수도권의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심방세동 부르는 이상지질혈증…"운동은 선택 아닌 필수"
혈액 속에 기름기가 많아지는 병 '이상지질혈증'은 건강검진에서 흔히 발견되는 질환이다. 보통 총콜레스테롤 240㎎/dL 이상, 저밀도(LDL) 콜레스테롤 160㎎/dL 이상, 중성지방 200㎎/dL 이상, 고밀도(HDL) 콜레스테롤 40㎎/dL 미만 중 한 가지 이상에 해당하면 이상지질혈증으로 진단한다. 문제는 이렇게 진단받은 후에도 별다른 증상을 못 느끼다 보니 대수롭지 않게 넘긴다는 데 있다. 하지만 이상지질혈증을 방치하면 동맥경화증과 심방세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심방세동은 가장 흔한 부정맥 질환으로, 심방이 정상적으로 수축·이완하지 못해 심장 리듬이 깨지면서 가슴이 답답하거나 어지럽고, 숨이 차는 증상을 보인다. 혈액 흐름이 불규칙해지는 만큼 혈전(피떡)이 생기고 뇌졸중과 심부전, 치매 등의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크다. 이상지질혈증의 원인은 유전적 요인도 있지만 무엇보다 생활 습관과 연관성이 크다. 주요 요인으로는 기름진 음식이나 단순당 위주의 식습관, 과음, 운동 부족, 비만 등이 꼽힌다. 따라서 진단 후 치료도 생활 습관 개선이 약물 복용만큼 중요하다. 전문가들은 특히 평상시 운동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서울대 의대 의과학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