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들 '의료대란 재발방지·피해구제법' 입법 촉구

"의료대란피해보상 특별법 공동발의한 대통령이 직접 답하라"

 환자단체가 의대 증원과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인한 의료 공백의 재발을 막고 피해를 구제하기 위한 입법을 촉구했다.

 한국백혈병환우회 등 10개 환자단체가 소속된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지난 2일 국회 정문 앞에서 회견을 열고 정부와 국회가 환자기본법과 의료대란 피해보상 특별법 등 '환자보호 4법'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발의된 환자기본법은 정부가 5년마다 환자 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환자정책위원회를 구성하는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한다.

 나머지 2개 법안은 국가보건의료 위기상황 발생 시 환자 피해를 국가가 조사하는 보건의료기본법 개정안과 응급실·중환자실 등의 의료 공백을 방지하는 의료법 개정안이다.

 연합회는 "지난 1년 7개월 동안 의정갈등과 의료공백으로 제때 치료받지 못해 사망하거나 질환이 악화한 암·희귀난치성질환자들이 있다"며 "전공의는 복귀 중이지만, 의료공백으로 인한 피해 구제와 재발 방지를 위한 입법은 정부의 반대와 비협조로 사실상 중단된 상태"라고 비판했다.

 또 "정부는 환자가 생명을 위협받는 상황을 해결하지 못했고, 환자들은 각자도생의 방법으로 지금까지 버텨왔으며 이 과정에서 우리나라 보건의료 체계가 환자 중심이 아닌 '의사 중심'이라는 사실을 실감했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국회는 전공의 복귀 여부와 상관 없이 향후 반복될 수 있는 의료계의 집단행동으로부터 미래의 환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입법 조치에 신속히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연합회는 "의료대란 피해보상 특별법은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였던 이재명 대통령이 당 차원에서 공동 발의한 법안"이라며 "대통령이 직접 답하라"고 촉구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사 X레이' 놓고 의사-한의사 충돌…입법예고 찬반 1만7천건
한의사의 엑스레이(X-ray)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법안을 놓고 의사와 한의사들이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다. 법안 통과에 반대하는 의사들과 찬성하는 한의사들이 총결집하면서 입법예고 기간 1만7천건이 훌쩍 넘는 찬반 의견이 쏟아졌다. 국회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서영석 의원이 최근 대표 발의한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입법예고(10월 13∼22일) 마감을 앞두고 지난 21일 오후 3시 30분 현재 1만7천300건가량의 의견이 등록됐다. 비공개 의견을 제외하고 제목에 '찬성' 또는 '반대'가 표기된 의견만을 놓고 보면 반대가 1만1천여 건, 찬성이 3천500여 건 정도다. 이 개정안은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책임자에 대한 규정을 바꾸는 내용이다. 현행 의료법은 의료기관 개설자 등이 방사선 장치를 설치하면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안전관리책임자를 선임'하도록 했고, 관련 복지부령은 안전관리책임자의 자격을 의사, 치과의사, 방사선사 등으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개정안은 '의료기관 개설자나 관리자는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를 설치한 경우에는 안전관리책임자가 되어' 관리할 수 있도록 했다. 즉, 한의사가 개설한 의료기관의 경우 한의사도 안전관리책임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