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신약 연구 경쟁력 한국 9위…미국·중국과 큰 격차

생명연 보고서 "글로벌 대비 양적·질적 격차 여전"

  인공지능(AI) 신약 개발을 위한 국내 연구 경쟁력이 글로벌 9위에 그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최근 'AI 신약 개발 분야 기술경쟁력 및 정부 R&D 투자현황 분석' 보고서에서 AI 신약 관련 논문, 특허 등 성과를 기반으로 이렇게 진단했다.

 한국에서는 2015∼2014년 AI 신약 개발 관련 논문이 총 1천16건 발간됐다.

 논문의 질적 측면을 평가하는 기준인 피인용 수를 기준으로 해도 한국은 9위에 머물렀다.

 2015∼2014년 한국에서 피인용된 논문 수는 2만2천544건으로 1위인 미국(30만8천522건)과 비교하면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미국 뒤로는 중국(12만7천223건), 캐나다(10만7천737건) 등 순이었다.

 다만 논문 상대인용률(RCR)을 기준으로 하면 7위로 순위가 올랐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 개발한 RCR은 연구의 영향력에 대한 논문 평가지표다.

 한국의 RCR 지푯값은 2.20이었고 캐나다(5.92), 영국(2.61), 독일(2.60) 등 국가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보고서는 미국, 중국 등과 비교하면 국내에서는 AI 기반 임상시험이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도 지적했다. 전임상 연구의 경우 관련 연구가 아예 부재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허 기반 분석에서도 국내 AI 신약 개발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특허청(USPTO)에 등록된 AI 신약 개발 관련 특허별 피인용 수를 집계해보면 미국(6개), 영국(4개), 스위스(1개) 등 3개국은 평균 이상의 기술력을 보유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의 경우 USPTO에 등록된 특허가 없어 글로벌 기준 질적 경쟁력이 미확보된 상황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다만 우리 정부는 AI 신약 개발 등 경쟁력 확보를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정부 투자는 2022년 451억원에서 지난해 567억원으로 연평균 12.2% 증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인공지능 활용 혁신 신약 발굴' 사업, 과기부 및 보건복지부 주관 '연합학습 기반 신약 개발 가속화 프로젝트' 등 AI 신약 개발 사업도 추진되고 있다.

 보고서는 "AI 신약 개발과 관련해 글로벌 대비 양적, 질적 격차가 존재한다"며 "본격 육성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최적의 육성 방향 검토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지나친 저염 식단, 신장 손상 환자 회복에 악영향"
신장 기능이 악화한 사람이 과도하게 염분 섭취를 제한하면 오히려 신장 회복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신장내과 장혜련·전준석·이경호 교수 연구팀은 최근 허혈성 급성 신장 손상 후 회복기의 식이 조절과 회복 연관성에 관한 논문을 학술지 '세포 및 발달 생물학 프런티어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신장이 손상된 생쥐를 이용해 고염식과 저염식, 고단백식과 저단백식, 고지방식과 저지방식 등 다양한 조합의 식이가 회복에 주는 영향을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회복기 지속적인 저염 식이는 염증성 변화를 유도하고 신장의 섬유화를 악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GF-β와 같은 신호 물질이 과활성화돼 신장 회복이 더뎌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됐다는 설명이다. 저지방·저단백 식이도 염분 섭취와 무관하게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치유를 저해했다. 고염식도 신장 회복에 악영향을 주기는 마찬가지였다. 연구팀은 "만성 신장질환 환자에게는 저염 및 저단백 식단이 종종 권장되지만, 이런 식단은 염증 반응을 유발하고 신장 섬유화를 촉진해 허혈성 급성 신손상의 회복을 저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식이요법은 환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는 비약물 치료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