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장 예약 현황 정보' 임시 홈페이지 운영…예약은 유선으로

국정자원 화재 여파로 'e하늘장사정보시스템' 중단 지속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여파로 온라인 화장예약 시스템 'e하늘장사정보시스템' 접속 이 제한되는 가운데, 보건복지부가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전국의 화장장 예약 접수현황 정보를 통합 제공하는 임시 홈페이지를 가동한다고 3일 밝혔다.

 국정자원 화재로 e하늘장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화장장 검색과 예약이 불가능해지면서 현재 화장장 예약은 유선이나 팩스 등 수기 접수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복지부는 화장장 예약에 대한 국민 불안과 불편을 해소하고, 예약을 보다 원활하게 진행하고자 한국장례문화진흥원과 함께 각 화장시설의 예약 현황 정보를 임시 홈페이지에서 한 번에 제공하기로 했다.

 복지부는 제공되는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최종 업데이트 시간을 함께 표출하며, 이날부터 사흘간 예약 가능·불가·완료 등 세부 사항을 적시했다.

 다만 임시 홈페이지는 전국 화장장 예약 접수 현황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실제 예약은 현재와 마찬가지로 유선 및 팩스 등 수기 접수로 해야 한다.

 임을기 복지부 노인정책관은 "임시 홈페이지 운영은 단계별로 나눠 1단계는 전국 화장장 예약 접수현황, 2단계는 화장장별 회차에 따른 접수현황 등 순차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화장장 예약에 대한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방의료 붕괴 현실로…수도권-지방 '수명 격차' 13년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기대수명이 13년이나 차이 나는 현실이 수치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히 통계적 차이를 넘어 수도권과 지방 간에 깊어진 의료 불균형이 국민의 생명권마저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등이다. 서울 서초구의 기대수명은 90.11세에 달하지만, 경북 영덕군은 77.12세에 그친다. 이런 '수명 격차'의 근본 원인으로 의료 인프라의 극심한 지역 편중이 지목된다. 의사와 대형병원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필수의료 체계는 붕괴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이는 곧 지역 소멸을 앞당기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다. 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불균형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연평균 증가율마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중증 질환 발생 시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돼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