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인구 1천만…급식사들 '시니어 공략' 강화

고급 시니어 시설·요양원·데이케어센터 급식사업
"대기업 대형 급식서 시니어 급식으로 확장"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지난해 처음으로 1천만명대에 진입한 가운데 단체급식 업계가 시니어 단체 급식 사업에 주목하고 있다.

 단체급식 업체들은 고령자 복지주택(공공임대)과 실버스테이(민간임대), 실버타운(노인복지주택) 등 노인 단체 주거 시설인 '시니어 레지던스'나 요양원 등을 대상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급식업계 관계자는 "과거 조선이나 건설, 전자 등 식수(급식자 수)가 많은 대기업의 단체급식 사업권을 수주하는 것이 중요했지만, 최근 대기업의 사업장 해외 이전과 사업 쇠퇴 영향으로 식수가 적은 소규모 사업이 미래 먹거리로 떠올랐다"고 설명했다.

 단체급식 시장 점유율 1위 삼성웰스토리는 서울의 '위례 심포니아 시니어'와 'VL 르웨스트', 부산의 '라우어 오시리아 시니어타운' 등 세대수가 많은 대형 고급 시니어 레지던스를 중심으로 급식 사업을 하고 있다.

 삼성웰스토리는 제공 급식은 시니어 고객의 건강을 고려한 저당 밥과 고단백, 저염 등을 중심으로 솥 밥과 즉석요리 등 특화 메뉴를 중심으로 식단을 짠다고 설명했다.

 삼성웰스토리 관계자는 "시니어 식음 시장 진출을 체계적으로 준비하면서 작년 8월 시니어 케어 전담 기업인 신한라이프케어와 업무협약을 맺었다"며 "사내 시니어 전담 태스크포스(TF)도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워홈은 미래 핵심 성장동력으로 '케어푸드 개발 역량을 기초로 한 헬스케어 사업'을 선정하고 관련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아워홈은 10개 실버타운과 요양원에서 단체 급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 1월부터 9월까지 이 사업의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 대비 79% 늘었다.

 아워홈은 시니어 대상 급식 식단을 생선류와 계란, 두부 등 단백질원과 현미밥, 그린샐러드, 계절 나물 등을 중심으로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아워홈 관계자는 "어르신 고객에게는 부드럽고 소화가 잘되는 메뉴를 준비한다"며 "일반 식당과 달리 배식대와 식기를 낮게 배치하고 안내판의 글자를 키우는 등 인테리어에도 신경을 쓴다"고 설명했다.

 현대그린푸드와 CJ프레시웨이는 노인 단체 급식 사업장에 식자재를 유통하고 있다.

 현대그린푸드는 약 890개의 노인주간보호센터(데이케어센터)와 실버타운 등에 식자재를 공급하거나 단체급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관련 사업 매출은 작년 동기보다 22% 늘었다.

 현대그린푸드는 작년 9월 시니어 전문 식자재 브랜드 '그리팅 웰스'를 론칭하고 112종의 제품을 출시해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현대그린푸드 관계자는 "고령층 전문 케어 시설 등에서 지속적으로 급식 운영과 식자재 납품 문의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CJ프레시웨이도 케어푸드 전문 브랜드 '헬씨누리'를 통해 고령화 친화 식품과 상온 간편식 등을 출시하고 있다.

 CJ프레시웨이의 시니어 식자재 유통 사업 매출은 최근 3년간(2022∼2024년) 연평균 26% 성장했고, 올해 3분기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17% 늘었다.

 CJ프레시웨이는 주방 시설이나 조리 인력이 없는 노인 관련 시설에 조리된 식사를 배송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초음파로 뇌졸중 쥐의 뇌 노폐물 제거…치매 등 치료 기대"
뇌 외부에서 저강도 초음파 자극을 가하는 방법으로 인위적 뇌출혈을 통해 뇌졸중을 일으킨 생쥐 모델의 뇌 속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는 실험이 성공을 거뒀다.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라그 아이란 교수팀은 11일 과학 저널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Nature Biotechnology)에서 저강도 초음파 치료가 출혈성 뇌졸중을 모방한 쥐의 뉘에서 신경독성 노폐물 제거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치료법이 인간 대상 임상시험에서도 유사한 긍정적 결과가 확인된다면, 수술이나 약물 없이도 출혈성 뇌졸중과 나아가 알츠하이머병 및 다른 외상성 뇌손상을 치료할 수 있는 안 전하고 간단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혈액세포나 다른 찌꺼기 같은 노폐물이 뇌 속에 축적되면 염증을 유발하고 신경세포를 훼손할 수 있다. 이런 노폐물 제거 능력이 손상되면 뇌졸중, 두부 외상, 그리고 치매 같은 질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연구팀은 출혈성 뇌졸중의 외과적 치료는 증상을 개선할 수 있지만 전문 뇌졸중 센터에 신속히 환자를 이송하고 뇌수술을 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약물 치료법도 연구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승인된 치료제는 없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두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