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 중독으로 내모는 의료시스템…'중독을 파는 의사들'

美 스탠퍼드대 정신의학과 교수가 쓴 신간…오피오이드 남용 정조준

  오피오이드는 의사의 처방을 얻어야 구할 수 있는 마약성 진통제다. 의약품이지만 생각보다 쉽게 구할 수 있다. 고통을 호소하기만 한다면 의사들이 별다른 죄책감 없이 처방전을 써주기 때문이다.

 미국 스탠퍼드대 정신의학·중독의학과 교수이자 책 '도파민네이션' 저자인 애나 렘키는 신간 '중독을 파는 의사들'(오월의봄)에서 이런 의료 문화 탓에 약물 중독환자가 늘고 있다고 지적한다.

 책에 따르면 미국에서 오피오이드 진통제 과복용으로 사망한 인구는 1999년 약 4천명에서 2013년 1만6천235명으로 4배 증가했다.

 오피오이드 진통제 약국 매출도 1999년부터 2010년 사이 4배 늘었다. 2010년에는 역사상 처음으로 '비의도적 약물중독'으로 인한 사망자가 교통사고 사망자를 추월하기도 했다.

 여기에 퍼듀 파마 같은 제약회사가 대대적으로 오피오이드 홍보에 나서고, 의학계가 이들 제약회사의 강력한 로비에 포섭되면서 '오피오이드의 대유행'이 시작됐다.

 최후의 보루인 미국식품의약국(FDA)은 규제는 고사하고 오피오이드 신제품을 손쉽게 승인함으로써 이 같은 유행을 부채질했다.

 저자는 "중독성 처방 약물의 대유행은 단순한 개별 환자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의료시스템 전체가 휘청이고 있음을 알려주는 경고음이자, 처방 약물에 중독된 환자만이 아닌 모든 환자와 그들을 치료하는 의사를 향해 변화를 촉구하는 외침"이라고 강조한다.

 그러나 이 같은 현상이 비단 미국만의 문제는 아니다. 이 책의 한국어판 서문을 쓴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장창현은 "미국에서 과잉 처방을 부추기는 요인들 상당수는 한국에서도 놀라울 만큼 비슷한 양상으로 작동한다"고 지적한다.

 일단 환자에 대한 상담보다는 약 처방이 치료의 중심이다. 정신 치료 수가가 낮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드는 상담보다는 신속하게 약을 처방하는 걸 의사들은 대체로 선호한다. 한국의 정신과 외래 진료 시간은 10분 미만으로 비교적 짧다.

 아울러 미국과 마찬가지로 한국은 의존성이 있는 약물 처방에 대해 관대한 편이다. 항불안제, 수면유도제인 졸피뎀, 정신자극제인 메틸페니데이트 등 의존성과 남용 위험이 명확한 약물들의 처방에 대한 장벽이 낮다고 장 전문의는 지적한다.

 엄격한 국제적 기준과 달리 반복 처방과 다약제 처방이 여전히 흔하게 이뤄진다는 것이다.

중독성 처방약물에 신중을 촉구하는 의사들 옮김. 332쪽.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백신주권' 없는 한국, 그날의 혼란 반복하지 않으려면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한국이 가장 크게 흔들린 순간은 확진자 급증이 아니라, 백신 도입이 늦어지던 시기였다. 세계 주요 선진국들이 자국에서 생산한 백신으로 접종 일정을 앞당기는 동안, 한국은 물량이 제때 들어오지 않아 접종 계획을 여러 차례 조정해야만 했다. 정부는 1회분에 수십 달러에 달하는 백신을 사기 위해 밤낮없이 글로벌 제약사와 협상했고, 국민들은 매일 뉴스를 확인하며 '언제 맞을 수 있나'를 걱정했다. 세계적인 방역 모범국이었지만, 백신만큼은 끝내 수입 의존국이라는 현실을 피하지 못한 셈이다. 더 뼈아픈 지점은 세계보건기구(WHO)가 팬데믹 종료를 선언한 지 2년 6개월이 지났지만 한국이 아직도 mRNA 백신을 개발하지 못해 '백신 주권'을 완성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다가는 다음 팬데믹이 닥쳤을 때도 해외 의존이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질병관리청이 최근 공공백신 개발과 mRNA 백신 플랫폼 구축에 팔을 걷어붙인 배경도 여기에 있다. 감염병이 유행할 때마다 세계 각국이 백신 확보 전쟁을 치르는 현실에서, 백신을 스스로 개발해 공급할 수 있는 역량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국가 안보의 문제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두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