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게 맞는 아토피 약' 찾기 어려운 이유

같은 계열 신약도 표적·기전 달라도 비급여
전문가 "치료 반응 큰 개인차 반영해야"

 아토피피부염은 피부에 가려움증을 동반한 염증이 생겨 오랜 시간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질환이다.

 가족력과 같은 유전적 요인과 유해 화학 물질, 환경오염 물질 증가 등 환경적 요인, 면역학적 요인 간 복잡한 상호작용이 원인이 돼 발생한다.

 그 중 면역학적 측면에서는 다양한 사이토카인(면역체계에서 우리 몸을 방어하는 단백질 분자)이 발생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IL(인터루킨)-13, 4, 31 등 사이토카인을 우선적으로 생성하는 2형 보조 T세포(Helper T-cells·다른 면역 세포가 감염과 싸우도록 신호를 보내는 역할)의 조절 장애가 아토피피부염의 주요 면역학적 원인으로 꼽힌다.

 ◇ 중증 아토피염 한해 192일 재발…혁신 신약 등장

 중증 아토피피부염 환자는 더 빈번하고 긴 재발을 경험하는데, 평균적으로 연간 192일 동안 증상이 재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성적인 가려움증과 수면장애는 중증 환자의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야간에 심해지는 가려움증은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주된 수면 장애 요인으로 꼽힌다.

 눈꺼풀 피부의 염증과 자극으로 인한 눈꺼풀 피부염과 각결막염 및 백내장 등 합병증도 부담이 된다.

 2024년 한국아토피피부염 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중등도-중증 아토피피부염의 전신 치료 방법으로는 기존 전신 약물(Conventional systemic drugs)과 생물학적 제제(Biologics), JAK 억제제(JAK inhibitors)가 있다.

 생물학적 제제는 아토피피부염과 관련한 특정 사이토카인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하는 반면, JAK 억제제의 경우 JAK/STAT(Janus kinase/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신호 전달 경로에 작용해 아토피피부염 관련 염증을 일으키는 사이토카인의 광범위한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한다.

 가이드라인에서 권고하는 생물학적 제제는 레브리키주맙, 두필루맙, 트랄로키누맙이 있으며, JAK 억제제로는 바리시티닙, 유파다시티닙, 아브로시티닙이 있다.

 글로벌 과학기술 정보 분석기업 클래리베이트의 '2025년 블록버스터 신약(Drugs to Watch)' 보고서에 따르면 이 중 레브리키주맙은 2030년까지 블록버스터급 실적이 기대되는 11개 의약품 중 하나로 선정됐다.

 수용성 인터루킨-13을 표적으로 하는 고친화성 면역글로불린(IgG4) 단일클론 항체인 엡글리스가 대표적 레브리키주맙 신약으로, 주요 3상 임상 시험 'ADvocate-1', 'ADvocate-2'을 통해 빠른 피부 병변 개선을 확인했다.

 ◇ 치료제간 표적 물질 등 달라…동일계열 교체투여 확대 필요

 현재 국내에서는 중증 아토피피부염 환자에 대해 '중증난치질환 산정특례'가 적용돼 생물학적 제제와 JAK 억제제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 혜택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치료제 간 교체투여 관련 급여 규정도 일부 완화됐다.

 기존에는 생물학적 제제나 JAK 억제제 계열 치료제를 처방받던 환자가 다른 치료제로 변경할 경우 급여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올해 3월부터 다른 계열로의 교체투여(생물학적 제제→JAK 억제제, JAK 억제제→생물학적 제제)에 한해 급여를 계속해서 적용받을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

 동일 계열 내에서의 교체투여는 여전히 비급여이기 때문이다.

 같은 생물학적 제제라도 표적하는 물질과 작용 방식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생물학적 제제 내 교체투여가 확대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김정은 교수는 "생물학적 제제와 JAK 억제제 등 다양한 신약이 등장하면서 (중증 아토피피부염) 환자들이 자신의 상태에 맞는 치료를 보다 적극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이 열리고 있다"면서도 "아토피피부염은 환자마다 증상 양상과 치료 반응이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치료 기회가 열려 있어야 하지만 현재 동일한 주사제 계열 혹은 경구 약제 내에서 약제를 변경할 경우 급여 제한으로 치료 선택권이 제한되고 있어 환자들을 위한 보다 유연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엡글리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응급실 뺑뺑이' 이어지는데…의료계·정치권 해법은 제각각
부산 도심에서 고등학생이 응급실을 찾지 못해 숨지는 등 '응급실 뺑뺑이' 문제가 계속 이어지는 가운데 정치권과 의료계는 서로 다른 해법을 내놓고 있다. 23일 국회 김윤 의원 민주당의원들은 119구급대에 이송 병원 지정 권한을 부여하는 내용의 '응급실 뺑뺑이 방지법'(응급의료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현행법상 119구급대원은 응급실에 일일이 전화해 수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 뒤 환자를 이송할 수 있다. 민주당이 발의한 개정안에는 119구급대가 전화로 응급실에 수용 능력을 확인하도록 한 기존 규정이 삭제됐다. 대신 환자를 수용하지 못하는 상황일 경우 응급실이 이를 중앙응급의료상황센터에 미리 고지하도록 했다. 수용이 어렵다는 사실을 미리 고지한 병원이 아니라면 구급대원이 해당 병원에 확인하지 않고도 환자를 옮길 수 있는 것이다. 김윤 의원은 지난달 3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서 "현장 체류시간이 길어지는 핵심 원인은 구급대원이 병원에 전화를 걸어 수용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전화 뺑뺑이' 구조에 있다"며 "수용 능력을 확인하는 대신 병원이 수용 불가한 경우 이를 미리 고지하는 '사전 고지 제도'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러나 의료계에서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한국 여성이 유방암 발병 연령 낮은 이유?…"마른 체형과 관련"
우리나라 여성의 유방암 유병률은 40∼50대에서 가장 높다. 작년 유방암과 관련해 진료받은 여성 환자 중에서도 절반 이상이 40∼50대였다. 백인 여성들의 유방암 유병률이 60대 후반 이후 가장 높아지는 것과 대조적인 패턴이다. 이 같은 한국의 유방암 발병 특징이 한국인의 마른 체형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북삼성병원 헬스케어데이터센터 류승호 교수, 코호트연구센터 장유수 교수·장윤영 박사,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조유선 교수 공동 연구팀은 폐경 이행기 여성 4천737명을 평균 7년간 추적 관찰해 여성 호르몬의 변화와 유방 밀도 변화를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유방암 발병은 여성 호르몬에 영향을 받고 유방 밀도가 높을수록 유방암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찰 결과 체질량지수(BMI) 18.5 미만의 저체중 여성에서는 폐경 이행기 초기에 여성 호르몬과 유방조직 밀도가 일시적으로 상승했다. 반면 BMI 25 이상 비만 여성은 여성 호르몬이 감소하고 유방 밀도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폐경 이행기 초기에 저체중 여성에서 유방암 위험이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류승호 교수는 "한국 여성은 서구 여성보다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