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어려움 등을 겪는 위기가구를 발굴하는 데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초기 상담이 시행된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5월 구축된 AI 활용 초기 상담 정보시스템이 7∼11월 시범운영을 거쳐 25일부터 전국 229개 시군구에서 본격적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현재 정부는 단전, 단수 등 47종 정보를 활용해 연 6회에 걸쳐 위기가구를 발굴하고 있다. 위기 징후가 포착된 가구에 대해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공무원이 일일이 초기상담 전화로 위기 여부와 복지 수요를 파악한 뒤 심층 상담과 가구 방문을 통해 복지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이제부터는 초기상담 단계에서 공무원 대신 AI 시스템이 전화해 시나리오에 기반한 상담을 하게 된다. 지자체가 위기 주민에게 우선 AI 상담 진행을 알리는 문자를 발송하고, 긴급하게 도움이 필요한 주민은 행정복지센터에서 연락할 수 있게 담당 공무원 연락처도 남긴다. 이후 '읍면동AI복지상담'(☎1600-2129)이 표기된 전화가 위기가구에 전화해 복지 도움이 필요한 상황인지를 파악하면 담당자가 상담 내용을 확인해 심층 상담과 가구 방문 등을 진행하게 된다. 지난 7∼9월 101개 시군구, 9∼11월 158개 시군구에서 시행된 시범운영을 통해서
서해 북단 연평도에 첫 목욕탕이 생겼다. 인천시 옹진군은 연평 커뮤니티 복합센터 1층에 연평목욕탕을 신설해 운영을 시작했다고 16일 밝혔다. 새로 생긴 연평목욕탕은 남탕·여탕에 각각 18개씩의 탈의 사물함과 냉탕·온탕 등을 갖췄다. 옹진군은 건물 내외부 안전 점검과 3주간 시범 운영을 거쳐 지난 15일 목욕탕을 정식 개장했다. 그동안 연평도에는 공중목욕탕이 없어 주민들이 욕탕을 이용하려면 여객선을 타고 2시간 거리의 인천 내륙까지 가야 했다. 옹진군 관계자는 "복합센터에는 목욕탕 말고도 카페, 작은 영화관, 공유주방 등 다양한 시설이 있다"며 "연평도에 생긴 첫 목욕탕인 만큼 주민들이 편하게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쾌적하게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노인이 사생활을 보호받으며 돌봄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1인실과 공용생활공간을 함께 갖춘 요양시설이 도입된다. 보건복지부는 2024년 제1차 장기요양위원회를 열고 '유니트케어' 시범사업 추진계획 등을 논의, 오는 7월부터 요양시설 2곳과 공동생활가정 8곳 등 총 10곳을 대상으로 유니트케어 시범사업을 하기로 했다. 유니트케어는 어르신이 요양시설과 공동생활시설에서도 집과 같은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9인 이하의 소규모 인원에게 하나의 '유니트'(시설 내 거주단위)를 제공하는 시설 모델이다. 1인실 생활공간과 거실 등 공용공간을 함께 갖춰 사생활을 보호하면서도 공동생활을 적극 지원할 수 있도록 했다. 복지부는 올해 시범사업 운영 결과를 토대로 내년에 2기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2026년부터 본사업 실시를 검토한다. '유니트케어' 이용 비용은 기존 요양시설 이용 비용과 동일하다. 장기요양 1등급자의 경우 노인요양시설 이용 비용은 하루 8만4천240원, 한 달 252만7천200원이다. 본인부담률 20%를 적용하면 50만5천440원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재정건전화 추진단 운영 결과와 함께 재정건전화 추진 실행방안이 보고됐다. 정부는 노인이 건강을 유지해 장기요양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