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어스트림 헬스, 헬스케어 IT 사업부문 필립스에 매각

지속적인 혁신과 환자 치료 개선에 대한 노력 공유

(미디어온) 케어스트림 헬스가 세계적인 의료 기술업체인 로얄 필립스와 자사의 헬스케어 정보시스템 사업을 필립스에 매각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케어스트림의 HCIS 사업부는 전세계 멀티사이트 병원, 방사선 서비스 공급자, 영상 센터, 전문 의료 클리닉에 이미징 IT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 사업부는 고성장의 매력적인 헬스케어 부문에서 강력한 고객 관계를 구축하며 지속적인 성장과 성공을 달성하고 있다.

이번 인수로 필립스는 헬스케어 IT 사업을 확장하고 업계 최고 수준의 VNA, 진단 및 엔터프라이즈 뷰어, 멀티미디어 레포트, 워크플로우 오케스트레이터, 임상, 운영 및 비즈니스 분석 툴을 포함한 케어스트림의 엔터프라이즈 영상 플랫폼을 필립스의 다양한 포트폴리오에 추가하게 됐다.

루도비치 다프리아 케어스트림 헬스케어 정보 솔루션 사장은 “우리는 전문 의료인들이 최적의 치료를 제공하고 운영을 향상할 수 있도록 방사선 및 엔터프라이즈 이미징 IT 시스템을 제공해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다”며 “HCIS 사업부는 필립스의 일원이 되어 더 번성하고 성공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됐다. 두 조직 모두 의미 있는 혁신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각 회사의 문화에 이러한 가치가 깊이 배어있다. 고객들은 더욱 광범위한 헬스케어 IT 솔루션 포트폴리오에 접근함으로써 의료 이미지 관리를 단순화하고 효율적인 협업을 지원하고 환자 치료를 개선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필립스는 케어스트림과 마찬가지로 고객 중심, 세계적 수준의 기술 우수성, 지속적인 혁신을 기반으로 강력한 글로벌 사업을 구축했다.

로버트 카셀라 로얄 필립스 정밀진단 사업부 수석총괄은 “필립스는 환자 경험 개선, 더 나은 치료 결과, 직원 경험 개선, 치료비용 절감의 4배 목표를 구현하겠다는 약속으로 전세계 헬스케어 제공업체들과 제휴해 사람과 정보 및 기술을 연결한다”며 “이번 인수로 병원 및 의료 시스템에 유연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우리의 능력이 강화된다. 영상 시스템 플랫폼, 워크플로우 최적화 및 인공지능 기반 인포매틱스에서 우리가 이룩한 성공적인 혁신과 케어스트림의 클라우드 기반 엔터프라이즈 영상 인포매틱스 플랫폼 및 보완적인 지역적 입지가 결합해 정밀 진단을 보장하는 견고한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고 말했다.

케어스트림은 이번 매각에 해당되지 않는 의료 영상, 치과 및 산업용 촬영, 비파괴 검사 및 정밀 코팅 사업부를 유지한다. 데이비드 웨스트게이트 케어스트림 회장, 사장 겸 CEO는 “기존의 사업부들은 견고한 재정기반과 혁신적인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세계 충성도 높은 고객들의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며 “이제 우리는 환자, 고객, 채널 파트너, 지역사회 및 모든 이해당사자들의 삶을 바꾸는 혁신을 제공하는 데 주력하며 회사의 장기적 성공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모든 규제 및 관련 당국의 승인을 받고 노사협의회 및 노조와의 협의를 마치고 모든 사전 조건을 충족한 이후 양사는 올 하반기 매각 완료를 추진할 계획이며 그 때까지는 독립적으로 운영된다.

거래의 추가적인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