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변호사 등 전문직 8만6천명…월평균 보수 1천300여만원

안과의사 평균 4천171만원으로 최고…변호사는 1천705만원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국내서 의사, 변호사, 세무사 등 고소득 전문직 수가 8만여명을 넘으며, 이들의 월평균 보수는 1천300여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인재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의사·약사·변호사·회계사·세무사·건축사 등 개인사업자로 신고한 19개 고소득 전문직 종사자는 올해 8월 기준 총 8만6천487명으로 집계됐다.

이들 전문직의 월평균 보수액은 약 1천301만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직종별 월평균 보수는 안과 의사가 약 4천171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산부인과 의사(약 2천672만원), 일반과 의사(약 2천477만원), 성형외과 의사(약 2천83만원), 피부과 의사(약 2천21만원), 변호사(약 1천705만원), 치과의사(약 1천700만원) 등 순이었다.

월평균 보수액이 가장 낮은 직종은 노무사로 월 약 349만의 평균보수를 버는 것으로 나왔다.

월평균 보수 신고액이 1억원을 넘는 인원은 총 643명에 이르며, 직종별로는 일반과 의사가 총 280명으로 가장 많았고, 변호사(87명), 안과 의사(76명), 산부인과 의사( 72명), 치과 의사(42명), 성형외과 의사(39명) 등이 뒤를 이었다.

하지만 고소득 전문직이라는 이름을 무색하게 월평균 보수 신고액이 200만원을 넘지 않는 고소득 전문직도 10명 중 1명꼴인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보수 신고액이 200만원 이하인 인원은 총 8천500명으로 전체의 9.8%를 차지했다.

월 보수 200만원 이하를 직종별로 보면, 세무사가 2천21명으로 가장 많았고, 건축사(1천299명), 법무사(1천251명), 감정평가사(612명), 변호사(524명), 노무사(246명) 등 순이었다.

특히 월 100만원 이하의 보수를 번다고 신고한 인원도 총 2천999명이나 됐다.

직종별로는 세무사(864명), 건축사(423명), 감정평가사(351명), 일반과 의사(234명), 노무사(229명), 변호사(210명) 등이었다.

한편 건보공단이 매년 선정해 관리하는 특별관리대상 중 건보료 체납 세대는 2019년 9월 기준 6만5천369세대이며, 체납액은 약 1천35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의사, 약사, 변호사, 법무사, 세무사(회계사), 연예인, 직업운동가 등 고소득 전문직에 해당하는 443세대가 건보료를 체납 중이었다. 체납금액은 약 9억9천800만원이었다.

같은 기간 건보료를 체납 중인 지역가입자는 약 119만 세대, 사업장은 약 5만6천 곳이었고, 전체 체납액은 약 2조5천억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필수의약품 공급망 강화…민관 협력 네트워크 출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정과제인 '국가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지원'을 이행하기 위해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를 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정과제 32-4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국가필수의약품·의료기기 공급 안정화 및 지원, 국산 원료 의약품 인센티브 확대 등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는 필수의약품 제조가 개시되는 단계부터 유통에 이르는 공급망 단계를 포괄해 지원한다. 향후 주문생산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상 선정 및 행정적·기술적 지원 사항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제약사에 필요한 인센티브를 제도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 제약 분야 협회 및 국가필수의약품 주문생산·유통 참여 업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식약처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해당 네트워크 개시를 기념해 열린 간담회에서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사업 현황과 향후 네트워크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 업계는 주문생산 사업에 참여하면서 느낀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주문생산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개선과 지원 필요 사항을 건의했다. 식약처는 "필수의약품 공공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