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드기·개미·뱀에 물린 응급실 환자 증가…지난해 6천200명

'화상벌레' 개체수 증가 추정…"피해사례 살펴봐야"

 최근 진드기나 개미, 뱀에 물리거나 벌에 쏘여 응급실을 찾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인재근 의원이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23개 응급실 기반 손상환자 심층조사'를 분석한 결과 최근 4년간(2015∼2018년) 물림·쏘임으로 응급실을 찾는 환자가 증가추세를 보였다.

연도별 환자 수를 보면 2015년 5천363명에서 2016년 6천56명, 2017년 5천988명, 2018년 6천246명(잠정치)으로 증가했다.

환자 유형은 개, 뱀 등 '척추동물'에게 물린 경우가 총 1만2천264건으로 전체의 51.8%를 차지했다. 벌이나 진드기, 개미 등 '곤충 및 무척추동물'에게 물리거나 쏘인 경우는 총 1만112건으로 42.8%를 차지했고, '사람'에게 물려 응급실을 찾은 경우도 1천277건으로 5.4%를 차지했다.

세부 유형을 보면 지난해 진드기와 개미에게 물린 사례가 각각 236건, 16건으로 4년 전인 2015년보다 각각 1.9배, 3.2배 증가했다.

일명 '화상벌레'로 불리는 청딱지개미반날개는 최근 출몰 빈도가 증가하고 있지만, 현재로선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정확한 판별을 위해서는 해당 종에 대해 특정하거나 벌레의 사체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청딱지개미반날개의 출몰빈도가 높아지는 이유는 여름철 고온 다습한 기후조건으로 인해 곤충류나 절지동물 같은 먹이 개체 수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추정됐다.

인 의원은 "기후변화로 진드기, 개미 등에 물려 응급실을 찾는 환자가 급증하는 추세"라며 "특히 화상벌레'는 스치기만 해도 심한 위해를 입는 만큼 보건당국은 관련 내용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피해사례의 정확한 집계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수술 빨라지길"…전공의 병원 복귀 첫날, 환자들 기대·안도
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해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1일 수련 재개로 상당수 현장으로 복귀하면서 환자들은 환영의 뜻과 함께 기대감을 나타냈다. 1일 오전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은 '의료대란' 당시와 다를 바 없이 북적였지만, 전공의처럼 보이는 의사 가운을 입은 청년들이 곳곳에서 눈에 띄어 차이가 있었다. 서울대병원에서는 '환자의 개인정보 예방을 위해 병원 내 촬영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안내문이 병원 곳곳에 비치된 채 의정 갈등 사태의 흔적으로 남은 가운데, 흰 가운의 젊은 의사들이 바쁜 발걸음을 재촉했다. 성북구 고려대 안암병원도 안정세를 찾은 분위기였다. 의료진은 각자 진료나 수술을 위해 바삐 걸음을 옮기느라 분주한 모습이었다. 다만 이들은 전공의 복귀 관련 질문에 대해서는 손사래를 치는 등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환자들의 분위기는 사뭇 달랐다. 병원에서 만난 환자들은 전공의 복귀를 환영하며 기대감과 안도감을 드러냈다. 서울대병원에서 아들의 신장 이식 수술을 기다리는 중이라는 한 어머니는 "이식을 받기 위해 7월 초부터 입원해서 기다리고 있다"며 "수술받을 사람이 많아서 대기 중인데 전공의가 복귀하면 더 빨라질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