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결부터 압력·소리까지 정확하게 감지" 촉각센서 개발

KAIST·ETRI "열성형 기반 기술로 연성 소재 한계 극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박인규 교수 연구팀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기존 촉각 센서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한 열 성형 기반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로봇이 물체를 잡거나 의료기기가 몸의 맥박을 감지할 때 쓰는 촉각 센서는 손끝처럼 '눌림'을 느끼는 기술이다.

 센서 상부의 전극과 지지 다리 구조는 목적에 따라 기계적 물성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지지 다리의 두께, 길이, 개수 등 미세한 구조 매개변수를 조정함으로써 센서의 영률(재료의 강성을 나타내는 지표)을 10Pa(파스칼)에서 1MPa(메가파스칼)까지 폭넓게 설정할 수 있다.

 이는 피부, 근육, 힘줄 등의 생체조직과 유사한 수준이다.

 개발한 센서는 가벼운 숨결까지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민감도가 높고 응답속도도 0.1ms(밀리초·1천분의 1초) 수준으로 빠르다.

 장기간 사용 시에도 변형률 0.5% 이하로, 5천차례 반복 측정에서도 99.9%의 정밀도를 유지하는 등 내구성을 입증했다.

 실제 센서 2천800개를 배열해 운동 중 발바닥의 압력 분포를 실시간 시각화하고, 손목 맥박 측정을 통해 혈관 건강 상태를 평가했다.

 상용 음향 센서 수준의 소리 감지 실험에서도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으며, 증강현실(AR) 기반 외과 수술 훈련 시스템에 적용해 너무 깊이 베거나, 위험한 부위를 건드리면 실시간 위험 경고 기능까지 갖춘 시스템을 구현했다.

 박인규 교수는 "일상생활은 물론 의료, 재활, 가상현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지난달 호에 실렸다. 해당 논문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공식 SNS 채널에도 소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알아두면 좋은 술의 상식
지난 칼럼에서 필자는 중국술에 대해 알아봤다. 바다 건너 일본술도 한번 살펴볼까 한다. 흔히 '니혼슈'(日本酒), 혹은 사케라고 하는 일본의 전통술은 종류가 약 1만2천여 가지나 된다. 사케는 일본의 대표적인 술로, 쌀을 발효해서 만든다. 일본의 유명한 사케 산지 역시 물이 좋은 곳, 쌀이 좋은 곳이다. 술맛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하면서도 기본적인 요소는 물이다. 물이 좋으면 쌀이 좋고, 좋은 쌀로 만든 술이 맛있는 법이다. 일본의 유명한 사케 명주는 대개 물이 좋은 곳에서 나오고, 술을 담그는 데 사용한 쌀 품종까지 밝힌다. 그런 일본 명주는 주로 니가타현에서 많이 나온다. 니가타현 하면 쌀이 좋기로 유명한데, 태평양 쪽에 있는 일본의 높은 산 위에 내린 눈이 녹아 흐른 물로 농사를 짓는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물 좋고 쌀 좋은 데를 꼽아보자면 경기도 이천이 있다. 그래서 국내산 맥주는 대부분 이천의 물로 만들었고, 지금도 맥주 공장이 있다. 일본 소주도 아주 유명하다. 원래 일본에는 소주가 없었는데, 우리나라 진로 소주가 일본에서 인기를 끌다 보니 소주를 주조하게 됐다. 쌀로 만든 소주, 보리로 만든 소주, 고구마로 만든 소주 등 종류는 다양하다. 일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