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과 새끼손가락 통증, 척골충돌증후군

가만히 앉아있거나, 누워있을 때도 쉬지 않고 움직이는 신체 부위는 ‘손’일 것이다. 또한 요즘에는 장소를 가리지 않고 남녀노소 모두 한 손에 스마트폰을 쥐고 열심히 무언가를 보고, 찾고, 확인하고 있다. 손이 더 바빠진 것 같다. 그만큼 손목 관련 질환도 많아졌다.

 

손목과 엄지손가락 주변에 통증이 생기는 손목건초염, 손목이 저릿저릿한 타는 느낌이 나는 손목터널증후군, 새끼손가락 아래 부분에 통증이 나타나는 척골충돌증후군 등이 대표적인 손목 관련 질환이다. 이 중 손목건초염이나 손목터널증후군에 비해 척골충돌증후군이라는 질환 명은 생소하다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척골충돌증후군은 빨래를 짜거나 병뚜껑을 따려고 할 때, 문고리를 돌릴 때 찌릿한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의자를 짚고 일어서거나 무거운 물건을 한 손으로 들 때 통증이 심해지기도 한다.

 

손목관절을 만져보면 두 개의 뼈가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바로 요골과 척골이다. 척골은 새끼손가락 아래쪽에 있는 뼈이다. 요골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척골이 수근골(손목뼈)과 부딪혀 관절 내 구조물에 손상을 주고 통증을 유발하는 증상이 척골충돌증후군이다. 심할 경우 척골과 손목뼈 사이에 있는 삼각섬유연골까지 충격을 받아 삼각섬유연골이 파열될 수도 있다. 

 

주로 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을 가지고 있거나, 테니스나 골프 같은 손목에 무리가 가는 운동을 많이 하는 경우, 선천적으로 척골이 길어서 척골과 손목뼈 사이의 여유공간이 부족한 경우 척골충돌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 손목부의 척골의 길이는 사람마다 다르다. 척골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사람은 같은 빈도로 손목을 사용했을 때 정상 길이를 갖고 있는 사람에 비해 척골충돌증후군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편이다. 또한 손목 관절의 퇴행성변화도 척골충돌증후군의 원인이 된다.

 

초기에는 손목 사용을 줄이고, 통증을 유발하는 자세나 동작을 삼가는 것만으로도 개선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약물치료나 깁스 및 손목 보호대 착용, 주사치료, 체외충격파 등으로 치료하기도 한다.

 

 

그러나 보존적 치료만으로 호전되지 않는다면 뼈의 높이를 맞추는 척골 단축술을 시행해 손목 관절 내 괴사나 파열의 진행을 막아야 한다.

 

그 동안 손목통증으로 고통스러웠다면 손목을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손목에 무리가 가는 행동은 피하고, 손목을 자주 사용해야 한다면 틈틈이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다. 손목 돌리기나 양팔을 앞으로 뻗어 한 손으로 손등을 눌러 90도 꺾기나 손바닥을 들어 90도 꺾기 등의 간단한 동작이라도 말이다.

윌스기념병원 박태훈 원장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바이오시밀러 경쟁 격화…퍼스트무버가 승부 가른다
국내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퍼스트 무버' 지위, 안정적 판매망 확보 등 차별화 전략이 중요해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 9월 바이오시밀러 최소 6개가 국내외에서 허가받거나 출시됐다. 셀트리온은 캐나다에서 골 질환 치료제 '스토보클로-오센벨트'에 대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일본에서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앱토즈마'를 허가받았고 유럽에서는 두드러기 치료제 '옴리클로'를, 호주에서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테키마'와 옴리클로를 출시했다. 삼천당제약도 안과 질환 치료제 '비젠프리' 바이알 및 프리필드시린지(PFS·사전 충전형 주사기) 제형에 대해 국내 허가를 받았다. 안과 질환 치료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바이알 및 PFS 제형에 대해 동유럽 8개국과 공급 계약도 맺었다. 알테오젠도 유럽에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아이럭스비'를 허가받았다. 신규 진입 기업도 잇따를 예정이다. 전통 제약사로 분류되는 대웅제약[069620]은 셀트리온 출신 홍승서 박사를 영입하며 바이오시밀러 사업 진출을 선언했다. 경쟁이 격화하면서 차별화 전략도 중요해졌다. 퍼스트 무버(최초 출시자) 지위 확보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