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세종시에서 자율주행 버스 달린다

레벨3 수준…시범운행후 2021년 운전자 필요없는 레벨4 운행

자율주행 버스가 세종시에서 내일부터 시범운행을 시작한다.

국토교통부는 29일 세종시와 함께 시민을 대상으로 레벨 3 수준으로 개발된 자율주행 버스 시승행사를 연다고 28일 밝혔다.

레벨3는 맑은 날씨 등 제한적인 조건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하지만 운전자는 여전히 필요한 수준이다.

자율주행 버스는 총사업비 370억원이 투입된 '자율주행기반 대중교통시스템 실증 연구'를 통해 한국교통연구원과 SK텔레콤[017670], 서울대, 현대차[005380] 등이 개발했다.

총 9회 진행되는 시연에서 버스정류장 정밀정차, 자율주행과 수동운전을 오가는 제어권 전환을 통한 회전교차로 통과, 통신을 통한 교통신호정보 수신, 스마트폰을 활용한 버스 승하차 기술 등을 선보인다.

 

시연을 시작으로 올해는 2대의 중소형 버스가 주 2∼3회 9.8㎞ 구간을 실증운행한다. 버스 투입을 점차 확대해 2021년에는 35.6㎞ 구간에서 8대의 차량이 레벨4 수준으로 주 20회의 빈도로 운행할 예정이다.

레벨4는 차량이 웬만한 환경에선 스스로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어 운전자가 필요 없는 자율주행 단계다.

이와 함께 같은 날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자율주행 체계 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국제 콘퍼런스도 열린다.

콘퍼런스는 자율차 법·제도 주무 부처인 국토부와 자율주행 버스를 시범 도입한 세종시가 자율차 모빌리티 서비스를 적극 도입하기 위해 마련했다.

세계 최초로 무인차를 창안한 미국 싱귤래리티학교의 브래드 템플턴 학과장과 구글에서 자율주행차 개발·생산을 총괄하는 커트 호프 디렉터 등 자율주행 분야의 저명인사들이 기조발표하고 세부 세션 등에 참여한다.

김경욱 국토부 2차관은 "행사는 15일 선포된 미래차 국가비전 실현을 위한 첫 발걸음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자율주행 기술을 꽃 피울 수 있는 모빌리티 서비스 개발과 도입을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방의료 붕괴 현실로…수도권-지방 '수명 격차' 13년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기대수명이 13년이나 차이 나는 현실이 수치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히 통계적 차이를 넘어 수도권과 지방 간에 깊어진 의료 불균형이 국민의 생명권마저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등이다. 서울 서초구의 기대수명은 90.11세에 달하지만, 경북 영덕군은 77.12세에 그친다. 이런 '수명 격차'의 근본 원인으로 의료 인프라의 극심한 지역 편중이 지목된다. 의사와 대형병원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필수의료 체계는 붕괴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이는 곧 지역 소멸을 앞당기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다. 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불균형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연평균 증가율마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중증 질환 발생 시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돼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