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선회 가격 13년여만에 최대폭 하락…8개월 연속 내림세

외식물가 꾸준히 오르는데 이례적 하락 지속…"공급 과잉 요인"

 최근 양식 광어 등의 공급이 늘어나면서 생선회 소비자 가격이 13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5일 통계청의 소비자물가 동향 조사 따르면 지난 10월 생선회(외식) 가격은 작년 같은 달보다 2.0% 내렸다.

2006년 2월(-2.4%) 이후 13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하락 폭이다.

생선회 가격 하락 기간도 길어지고 있다.

지난 3월 -0.1%로 2015년 6월(-0.1%) 이후 3년 9개월 만에 처음으로 1년 전보다 하락한 생선회 가격은 10월까지 8개월 연속 내림세를 이어가는 중이다.

이는 2005년 3월∼2006년 6월(16개월) 이후 가장 긴 하락 행진이다.

지난 3월 이후 통계청이 조사하는 39개 외식 품목 중 단 한 번이라도 1년 전보다 가격이 하락한 품목은 생선회와 학교급식비 등 2종류뿐이었다.

학교급식비가 무상급식 등 정부의 정책적인 요인으로 하락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생선회는 외식 품목 중 사실상 '나홀로 역주행'을 하는 모습이다.

통상 식당에서 판매하는 외식 품목은 내림세 없이 계속 상승한다. 전체 외식 물가가 하락했던 적은 외환위기 시절인 1999년 1∼11월 이후 단 한 차례도 없다.

생선회 가격 하락세가 이례적인 일로 평가되는 이유다.

생선회 가격이 계속 내리는 이유는 공급 과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제주도는 지난달 대표적인 횟감인 양식 광어 총 200t을 수매해 폐기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기로 했다. 공급이 늘어 가격이 떨어지면서 어가의 수익도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제주산 양식 광어 생산량은 지난 9월 1만6천630t으로 1년 전보다 3.1% 증가했다. 하지만 관련 총매출액은 1천522억5천만원으로 1년 전보다 27.8%나 감소했다. 수출액 역시 1천640만9천달러로 21% 줄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양식 광어 공급뿐 아니라 연어 수입 증가도 생선회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며 "통상 외식 물가는 내림세 없이 꾸준히 상승하지만, 생선회는 메뉴판에 '시가'로 표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공급 증가에 따른 가격 영향이 즉각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